공무원 노동조합이 지방자치단체의 인사적체 해소대안을 제시해 논란이 예상된다.
12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진주시지부에 따르면 인사적체를 해소하기 위해 이달 예정인 정기인사때 본청, 사무소 4년 근무와 읍·면·동 5년 근무 직원을 대상으로 한 인사원칙을 1년씩 단축하면 원활한 인사가 이루어진다는 노조의 입장을 시장과 인사 관련부서에 제출했다.
지부는 또 지연과 혈연, 학연에 치우친 인사와 사무관 이상 승진및 전보때 상급기관의 낙하산 인사는 단호히 거부할뿐 아니라 강력하게 대처해 나가기로 했다.
지부 관계자는 “그동안 인사적체와 구조조정 등으로 조합원들의 사기가 바닥에 떨어져 있으며 근무의욕까지 잃고 있어 승진기회로 사기를 진작시키기 위해 인사적체 해소대안을 냈다”고 밝혔다.
그러나 공무원노조에서 인사권자와 인사 관련부서에 이같은 인사방향을 제시한 것은 처음인데다 인사권자의 결정과 인사운용지침 변경 등 절차가 필요해 사실상 수용하기 어렵다는 것이 시 관계자의 설명이다.
시 관계자는 “근무연수를 단축해 전보하면 같은 과나 계의 상당수 직원들이 자리를 옮겨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는 데다 기술직과 기능직 등 다양한 직종의 직원들을 일률적으로 전보할수 없는 등 애로사항이 많아 적극적인 수용은 어렵다”고 말했다.
/연합
12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진주시지부에 따르면 인사적체를 해소하기 위해 이달 예정인 정기인사때 본청, 사무소 4년 근무와 읍·면·동 5년 근무 직원을 대상으로 한 인사원칙을 1년씩 단축하면 원활한 인사가 이루어진다는 노조의 입장을 시장과 인사 관련부서에 제출했다.
지부는 또 지연과 혈연, 학연에 치우친 인사와 사무관 이상 승진및 전보때 상급기관의 낙하산 인사는 단호히 거부할뿐 아니라 강력하게 대처해 나가기로 했다.
지부 관계자는 “그동안 인사적체와 구조조정 등으로 조합원들의 사기가 바닥에 떨어져 있으며 근무의욕까지 잃고 있어 승진기회로 사기를 진작시키기 위해 인사적체 해소대안을 냈다”고 밝혔다.
그러나 공무원노조에서 인사권자와 인사 관련부서에 이같은 인사방향을 제시한 것은 처음인데다 인사권자의 결정과 인사운용지침 변경 등 절차가 필요해 사실상 수용하기 어렵다는 것이 시 관계자의 설명이다.
시 관계자는 “근무연수를 단축해 전보하면 같은 과나 계의 상당수 직원들이 자리를 옮겨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는 데다 기술직과 기능직 등 다양한 직종의 직원들을 일률적으로 전보할수 없는 등 애로사항이 많아 적극적인 수용은 어렵다”고 말했다.
/연합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