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 당선자는 최근 공직 인사청탁 근절문제와 관련, “공직인사에서 청탁사실이 밝혀질 경우 그에 따른 별도의 조치가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직인수위는 노 당선자의 이런 뜻에 따라 최근 청탁에 상응하는 조치나 제도 등이 마련된 해외사례 수집에 나서 실현 가능한 대안을 적극 강구중이다.
이와 관련, 인수위 관계자는 “싱가포르 등 해외사례를 분석하고 있으나 추천과 청탁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 등이 쉽지 않은 문제”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공무원임용령을 개정, 청탁 발각시 청탁자나 청탁대상자의 명단을 공개하고 인사추천시 공개화 원칙을 규정에 담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한편 노 당선자는 공직사회의 자기혁신을 거듭 당부하고, 취임직후 행정조직개편을 단행할 것임을 강조했다.
공직사회가 자율적으로 개혁하지 않을 경우 외부의 힘에 의한 `고통스러운 개혁’이 될 수 밖에 없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공직사회의 자기개혁을 위한 분발을 촉구했다.
노 당선자는 “정부개혁에 대해 공무원들 스스로 자율적으로 주도해야 한다”면서 “1-2년 뒤에 국민이 잘못됐다고 판단하면 공무원들이 국민들에게 할 말도 없고 자칫 외과적 수술에 노출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영민기자 ymp@siminnews.net
대통령직인수위는 노 당선자의 이런 뜻에 따라 최근 청탁에 상응하는 조치나 제도 등이 마련된 해외사례 수집에 나서 실현 가능한 대안을 적극 강구중이다.
이와 관련, 인수위 관계자는 “싱가포르 등 해외사례를 분석하고 있으나 추천과 청탁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 등이 쉽지 않은 문제”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공무원임용령을 개정, 청탁 발각시 청탁자나 청탁대상자의 명단을 공개하고 인사추천시 공개화 원칙을 규정에 담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한편 노 당선자는 공직사회의 자기혁신을 거듭 당부하고, 취임직후 행정조직개편을 단행할 것임을 강조했다.
공직사회가 자율적으로 개혁하지 않을 경우 외부의 힘에 의한 `고통스러운 개혁’이 될 수 밖에 없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공직사회의 자기개혁을 위한 분발을 촉구했다.
노 당선자는 “정부개혁에 대해 공무원들 스스로 자율적으로 주도해야 한다”면서 “1-2년 뒤에 국민이 잘못됐다고 판단하면 공무원들이 국민들에게 할 말도 없고 자칫 외과적 수술에 노출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영민기자 ymp@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