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 인수위가 행시 위주의 현행 공무원 충원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나선 것은 인재를 효율적으로 발굴, 공직에 참여시킴으로써 공무원 사회의 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특히 인수위가 행시 외의 충원방법으로 검토중인 면접시험 선발 후 일정기간 교육, 인턴수습후 채용 등의 방식은 민간에서 확산되고 있는 수시채용과 비슷한 유형이어서 민간의 효율을 공직사회에 광범위하게 활용하겠다는 신호탄으로도 받아들여진다.
이런 개선방향은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가 공무원들에게 깊은 신뢰를 보내면서도 관료주의의 병폐와 경직된 공직문화에 비판적인 시각을 보여온데서 일찌감치 예상됐었다는 게 주변의 해석이다.
앞서 노 당선자가 정부산하단체 및 공기업 등의 인사와 관련해 전문성과 이익성, 공익성, 개혁성 등의 요소를 가중치를 두고 차등 적용함으로써 적재적소의 인물을 발굴하겠다는 원칙을 제시했던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이에 따라 공직 충원방식이 다양화되면서 열린 체제로 변화될 경우 공무원 사회에서도 민간의 창의성과 효율, 경험, 전문성이 비교우위를 가질 수 있는 경제·통상과 사회·문화 분야 등에서 행시 이외의 다른 방법에 의한 폭넓은 인재 충원이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학자 등 전문가 그룹 및 현장경험과 개혁적 마인드를 평가받을 수 있는 시민단체 인사 등의 공직참여 문턱이 크게 낮아질 가능성도 점쳐진다.
/서정익기자 ik11@siminnews.net
특히 인수위가 행시 외의 충원방법으로 검토중인 면접시험 선발 후 일정기간 교육, 인턴수습후 채용 등의 방식은 민간에서 확산되고 있는 수시채용과 비슷한 유형이어서 민간의 효율을 공직사회에 광범위하게 활용하겠다는 신호탄으로도 받아들여진다.
이런 개선방향은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가 공무원들에게 깊은 신뢰를 보내면서도 관료주의의 병폐와 경직된 공직문화에 비판적인 시각을 보여온데서 일찌감치 예상됐었다는 게 주변의 해석이다.
앞서 노 당선자가 정부산하단체 및 공기업 등의 인사와 관련해 전문성과 이익성, 공익성, 개혁성 등의 요소를 가중치를 두고 차등 적용함으로써 적재적소의 인물을 발굴하겠다는 원칙을 제시했던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이에 따라 공직 충원방식이 다양화되면서 열린 체제로 변화될 경우 공무원 사회에서도 민간의 창의성과 효율, 경험, 전문성이 비교우위를 가질 수 있는 경제·통상과 사회·문화 분야 등에서 행시 이외의 다른 방법에 의한 폭넓은 인재 충원이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학자 등 전문가 그룹 및 현장경험과 개혁적 마인드를 평가받을 수 있는 시민단체 인사 등의 공직참여 문턱이 크게 낮아질 가능성도 점쳐진다.
/서정익기자 ik11@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