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자치부의 1급 공무원 전원이 사표를 제출한 것으로 19일 확인돼 40대의 젊은 김두관 장관이 취임한 행자부의 향후 서열파괴 인사 여부가 주목된다.
이날 행자부에 따르면 행자부의 1급 공무원 12명 가운데 공석인 차관보를 제외한 11명 가운데 사표를 내지 않았던 일부 인사가 막판에 사의를 표시했다.
공석인 차관보를 제외한 행자부 본부 1급 공무원 2명과 국가전문행정연수원 1명, 소청심사위원회 4명, 국민고충처리위원회 3명, 제2건국위원회 1명 등의 고위 공무원이 일단 사표를 제출했다.
행자부 1급 공무원 전원이 사의를 표시한 것은 이례적인 일로 앞으로 정부 타 부처와 산하 기관, 지방자치단체의 인사에도 영향를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행자부 고위 관계자는 기수파괴 인사 가능성과 관련, “서열파괴 인사가 시대의 대체적인 추세”라며 “젊고 적극적인 인물을 기용하려고 하나 구체적인 범위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간부 2명이 후배들의 자리 마련을 위해 용퇴(명예퇴직)했으나 1급 모두가 사의를 표시하거나, 일괄로 사표를 제출토록 한 것은 아니다”며 “대통령 업무보고(24일) 때까지 후속 인사 마무리를 목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행자부의 또 다른 관계자는 “과거 서열·기수 위주의 승진 관행을 탈피해 능력 위주의 인사가 이뤄져야 하나 서열을 완전히 무시한 인사에는 일부 저항이 있을 수 있어 서열과 능력을 적절히 조화시키는 인사가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개방적이고 투명한 절차에 의해 수긍할 수 있는 인사를 한다면 일부 서열이 무시된다고 하더라도 조직의 혼란은 없을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서정익 기자 ik11@siminnews.net
이날 행자부에 따르면 행자부의 1급 공무원 12명 가운데 공석인 차관보를 제외한 11명 가운데 사표를 내지 않았던 일부 인사가 막판에 사의를 표시했다.
공석인 차관보를 제외한 행자부 본부 1급 공무원 2명과 국가전문행정연수원 1명, 소청심사위원회 4명, 국민고충처리위원회 3명, 제2건국위원회 1명 등의 고위 공무원이 일단 사표를 제출했다.
행자부 1급 공무원 전원이 사의를 표시한 것은 이례적인 일로 앞으로 정부 타 부처와 산하 기관, 지방자치단체의 인사에도 영향를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행자부 고위 관계자는 기수파괴 인사 가능성과 관련, “서열파괴 인사가 시대의 대체적인 추세”라며 “젊고 적극적인 인물을 기용하려고 하나 구체적인 범위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간부 2명이 후배들의 자리 마련을 위해 용퇴(명예퇴직)했으나 1급 모두가 사의를 표시하거나, 일괄로 사표를 제출토록 한 것은 아니다”며 “대통령 업무보고(24일) 때까지 후속 인사 마무리를 목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행자부의 또 다른 관계자는 “과거 서열·기수 위주의 승진 관행을 탈피해 능력 위주의 인사가 이뤄져야 하나 서열을 완전히 무시한 인사에는 일부 저항이 있을 수 있어 서열과 능력을 적절히 조화시키는 인사가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개방적이고 투명한 절차에 의해 수긍할 수 있는 인사를 한다면 일부 서열이 무시된다고 하더라도 조직의 혼란은 없을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서정익 기자 ik11@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