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핵 포기를 약속하면 전력을 직접 공급하겠다”는 전격 제안은 파격적이고도 시기적절한 것으로 참여정부의 대북정책의 백미라 할만하다.
중대제안은 북한에게 가장 절실한 문제이자, 경수로사업 중단에서도 드러나듯 미국이 더 이상 얽매이고 싶지 않은 주제이기도 한 ‘에너지문제’를 해결하는 일석이조의 묘책이다.
사실 그동안 참여정부의 대북, 대외정책은 몇 가지 점에서 딜레마에 빠져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북한에게 있어 핵 포기는 그들의 요구가 관철되고 난 후 할 수 있는 마지막 선택인데 반해, 미국은 모든 대북 유화정책의 전제조건으로 핵 포기를 주장하는 상황에서 대립의 당사자가 아닌 한국이 선택할 수단은 거의 없었다.
남북관계와 한미동맹은 시시때때로 충돌했다. 현 정부의 대북정책은 표류하고 있는 듯 했고 한반도 평화와 동북아 정세에서 한국의 입지는 갈수록 좁아지는 듯 했다.
그런데 한 가지 길이 있었다. 한미관계의 굳건한 신뢰를 전제로 획기적인 대북경제지원이라는 지렛대를 제시함으로써 표류하던 북핵문제를 수렁에서 건져 올리는 것이다.
‘남한전력 200만KW를 북한에 직접 송전하겠다’는 전격발표가 그것이다.
협상전략에 있어서 남북관계와 한미관계는 절대적으로 상호의존한다. 즉 대북 협상력은 한미 핫라인에서 나오고, 대미협상력은 대북 핫라인에서 나온다.
핫라인과 신뢰관계는 가장 강력한 협상력이다.
핵 포기를 전제로 한 대북 중대제안으로 대북 핫라인이 구축되고 신뢰관계가 굳건해 진다면 이는 한국의 대미협상력으로 직결될 것이며, 이를 통해 형성된 자주적인 대미협상력은 곧바로 대북 영향력의 증대로 이어지는 신뢰와 협상의 선순환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때맞춰 방한한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중대제안에 대해 창의적이고 유익한 제안이라고 긍정평가하며 기대를 표명한 것이 이를 잘 증명한다.
남은 과제는 중대제안에 대한 국민의 동의를 구하고 국회의 협력을 득하는 일이다.
전력지원은 2조원 이상의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문제이므로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존중되어야 하지만 ‘교류협력-평화공존-통일번영’의 단계를 거쳐 웅비해야 할 한반도의 미래를 위해 南이 北을 위해 기꺼이 지불해야 할 통일비용이자 先투자의 성격을 갖는다는 점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통일을 이루기까지 서독이 동독에 지원한 금액은 73년부터 90년까지만도 연평균 32억달러, 총 574억달러(58조원)이고 통일 이후 2004년까지 15년 동안 동독경제 재건비용은 1조 5000억유로(2100조원)임을 생각할 때, 한국의 북한경제 지원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중요한 것은 先투자적 성격의 대북지원으로 통일비용을 최소화하되 효과는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현실적으로 준비해야 한다는 점이다.
중대제안은 북한에게 가장 절실한 문제이자, 경수로사업 중단에서도 드러나듯 미국이 더 이상 얽매이고 싶지 않은 주제이기도 한 ‘에너지문제’를 해결하는 일석이조의 묘책이다.
사실 그동안 참여정부의 대북, 대외정책은 몇 가지 점에서 딜레마에 빠져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북한에게 있어 핵 포기는 그들의 요구가 관철되고 난 후 할 수 있는 마지막 선택인데 반해, 미국은 모든 대북 유화정책의 전제조건으로 핵 포기를 주장하는 상황에서 대립의 당사자가 아닌 한국이 선택할 수단은 거의 없었다.
남북관계와 한미동맹은 시시때때로 충돌했다. 현 정부의 대북정책은 표류하고 있는 듯 했고 한반도 평화와 동북아 정세에서 한국의 입지는 갈수록 좁아지는 듯 했다.
그런데 한 가지 길이 있었다. 한미관계의 굳건한 신뢰를 전제로 획기적인 대북경제지원이라는 지렛대를 제시함으로써 표류하던 북핵문제를 수렁에서 건져 올리는 것이다.
‘남한전력 200만KW를 북한에 직접 송전하겠다’는 전격발표가 그것이다.
협상전략에 있어서 남북관계와 한미관계는 절대적으로 상호의존한다. 즉 대북 협상력은 한미 핫라인에서 나오고, 대미협상력은 대북 핫라인에서 나온다.
핫라인과 신뢰관계는 가장 강력한 협상력이다.
핵 포기를 전제로 한 대북 중대제안으로 대북 핫라인이 구축되고 신뢰관계가 굳건해 진다면 이는 한국의 대미협상력으로 직결될 것이며, 이를 통해 형성된 자주적인 대미협상력은 곧바로 대북 영향력의 증대로 이어지는 신뢰와 협상의 선순환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때맞춰 방한한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중대제안에 대해 창의적이고 유익한 제안이라고 긍정평가하며 기대를 표명한 것이 이를 잘 증명한다.
남은 과제는 중대제안에 대한 국민의 동의를 구하고 국회의 협력을 득하는 일이다.
전력지원은 2조원 이상의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문제이므로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존중되어야 하지만 ‘교류협력-평화공존-통일번영’의 단계를 거쳐 웅비해야 할 한반도의 미래를 위해 南이 北을 위해 기꺼이 지불해야 할 통일비용이자 先투자의 성격을 갖는다는 점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통일을 이루기까지 서독이 동독에 지원한 금액은 73년부터 90년까지만도 연평균 32억달러, 총 574억달러(58조원)이고 통일 이후 2004년까지 15년 동안 동독경제 재건비용은 1조 5000억유로(2100조원)임을 생각할 때, 한국의 북한경제 지원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중요한 것은 先투자적 성격의 대북지원으로 통일비용을 최소화하되 효과는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현실적으로 준비해야 한다는 점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