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정부 출범 초기인 2003년 이후 3년 반 동안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에 가입한 교사의 숫자가 5500명 줄었다.
9일 교육인적자원부가 국회 교육위 소속 한나라당 김영숙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 ‘교직단체 가입 현황’에 따르면 전교조 교사(회비 납부자 기준)는 지난 2002년 3월 8만4964명에서 1년 후 2003년 3월엔 9만416명으로 5400명 급증했다.
이는 2002년 말 노무현 대통령의 당선으로 전교조의 영향력이 최고조에 달한 시기지만 그 이후 전교조의 투쟁방식이나 이념적 편향성 등으로 조합원의 숫자가 계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04년 9월 조합원수가 8만 8001명으로 2400여명 줄었고 2005년 4월엔 조합원수가 8만 4476명으로 7개월만에 3500명이 줄었다.
탈퇴자가 매달 500명씩 급격히 증가한 셈이다. 현재 전교조의 조합원수는 8만4000여명 선이고 그 중 부장교사는 1만4000여명, 평교사는 7만명 선이다. 교장과 교감 중에는 전교조 소속이 없었다.
한편 전교조가 지난해 조합원을 상대로 “왜 탈퇴율이 늘어가는가”란 질문에 ‘활동방식에 대한 불만’이 39.3%로 가장 많았다.
/서정화 기자hwa@siminilbo.co.k
9일 교육인적자원부가 국회 교육위 소속 한나라당 김영숙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 ‘교직단체 가입 현황’에 따르면 전교조 교사(회비 납부자 기준)는 지난 2002년 3월 8만4964명에서 1년 후 2003년 3월엔 9만416명으로 5400명 급증했다.
이는 2002년 말 노무현 대통령의 당선으로 전교조의 영향력이 최고조에 달한 시기지만 그 이후 전교조의 투쟁방식이나 이념적 편향성 등으로 조합원의 숫자가 계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04년 9월 조합원수가 8만 8001명으로 2400여명 줄었고 2005년 4월엔 조합원수가 8만 4476명으로 7개월만에 3500명이 줄었다.
탈퇴자가 매달 500명씩 급격히 증가한 셈이다. 현재 전교조의 조합원수는 8만4000여명 선이고 그 중 부장교사는 1만4000여명, 평교사는 7만명 선이다. 교장과 교감 중에는 전교조 소속이 없었다.
한편 전교조가 지난해 조합원을 상대로 “왜 탈퇴율이 늘어가는가”란 질문에 ‘활동방식에 대한 불만’이 39.3%로 가장 많았다.
/서정화 기자hwa@siminilbo.co.k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