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규제등 확 풀고 왕산로 도로확장 필요`
서울 동대문구의회는 청량리 민자 역사 사업, 뉴타운 사업, 약령시 한방특구 지정 등 구의 각종 사업에 발맞춰 5선의 강태희 의장을 필두로 지역개발을 위한 다양한 의정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강 의장은 동대문구의 특징에 대해 “주민과 함께하는 열린의정, 열린의회”라고 말하며 “5대에 들어 젊은 세대의 초선 의원들이 대거 참여해 활동성이 강하고 열의가 넘치며 연구적이다. 의정활동의 방향 설정 등에 대해 조언을 구하면 적극적으로 돕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강 의장은 현재 청량리 민자역사를 중심으로 한 개발에 대해 “동대문구 보다 청량리라고 하면 모르는 사람이 없다. 그만큼 청량리 개발은 동대문구에 중요한 것”이라며 “민자역사 주변 반경 2km에 문화공간 등을 조성해 2030세대를 유치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강 의장은 또 구의 현안에 대해 “현재 왕산로가 협소한데 도심권에 들어오는 길은 넓어야 한다”며 “도로확장이 필요하고 주변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히고 “청량리 역에서 석계역까지 지상에 전철을 지하화 해 외대앞역의 철길을 없애야 휘경·이문 재정비촉진지구가 문제가 없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올해 동대문구 의회의 주요 정책 방향에 대해 강 의장은 “현재 지방재정수요가 빈약한 상태라 재정자립도를 올려 지역의 균형발전을 최대한으로 빠르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며 “재정자립이 40% 안밖으로 도는 입장으로 복지지원도 빈약하고 소외계층도 많다. 지역의 재정의 수요 공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청량리 주변에서 외자유치를 통해 건축규제 등 제반시설규제 완화를 통해 재정 수익을 늘려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강 의장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재산세 50% 공동세안에 대해 “아무리 지방자치제도라 해도 지금의 강남이 발전한 것은 과거 강북에서 나온 세금으로 이뤄진 것이라 생각한다”며 “과거를 생각하고 서울 전체를 생각해서 공동세안은 타당하다”고 의견을 비쳤다.
불법 노점상 문제에 대해서 강 의장은 “생업을 위해서 잠시와서 장사를 하는 것은 좋다. 하지만 통행에 장애를 주거나 쓰레기 등으로 위생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개선이 필요하다”며 “이권이 오가는 것이 아닌 정비를 통한 규칙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민의 의견 수렴 방식에 대해 “현장에서 직접 확인한 후 문제점에 대한 즉각적인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주민들이 그것을 알아 줄 때 보람을 느낀다”고 말하는 강 의장은 “실무 담당자를 우선으로 해서 민원을 해결하는 방법이 일을 순수하게 풀 수 있는 것”이라며 “밑에서부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정호 기자hiho@siminilbo.co.kr
서울 동대문구의회는 청량리 민자 역사 사업, 뉴타운 사업, 약령시 한방특구 지정 등 구의 각종 사업에 발맞춰 5선의 강태희 의장을 필두로 지역개발을 위한 다양한 의정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강 의장은 동대문구의 특징에 대해 “주민과 함께하는 열린의정, 열린의회”라고 말하며 “5대에 들어 젊은 세대의 초선 의원들이 대거 참여해 활동성이 강하고 열의가 넘치며 연구적이다. 의정활동의 방향 설정 등에 대해 조언을 구하면 적극적으로 돕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강 의장은 현재 청량리 민자역사를 중심으로 한 개발에 대해 “동대문구 보다 청량리라고 하면 모르는 사람이 없다. 그만큼 청량리 개발은 동대문구에 중요한 것”이라며 “민자역사 주변 반경 2km에 문화공간 등을 조성해 2030세대를 유치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강 의장은 또 구의 현안에 대해 “현재 왕산로가 협소한데 도심권에 들어오는 길은 넓어야 한다”며 “도로확장이 필요하고 주변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히고 “청량리 역에서 석계역까지 지상에 전철을 지하화 해 외대앞역의 철길을 없애야 휘경·이문 재정비촉진지구가 문제가 없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올해 동대문구 의회의 주요 정책 방향에 대해 강 의장은 “현재 지방재정수요가 빈약한 상태라 재정자립도를 올려 지역의 균형발전을 최대한으로 빠르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며 “재정자립이 40% 안밖으로 도는 입장으로 복지지원도 빈약하고 소외계층도 많다. 지역의 재정의 수요 공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청량리 주변에서 외자유치를 통해 건축규제 등 제반시설규제 완화를 통해 재정 수익을 늘려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강 의장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재산세 50% 공동세안에 대해 “아무리 지방자치제도라 해도 지금의 강남이 발전한 것은 과거 강북에서 나온 세금으로 이뤄진 것이라 생각한다”며 “과거를 생각하고 서울 전체를 생각해서 공동세안은 타당하다”고 의견을 비쳤다.
불법 노점상 문제에 대해서 강 의장은 “생업을 위해서 잠시와서 장사를 하는 것은 좋다. 하지만 통행에 장애를 주거나 쓰레기 등으로 위생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개선이 필요하다”며 “이권이 오가는 것이 아닌 정비를 통한 규칙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민의 의견 수렴 방식에 대해 “현장에서 직접 확인한 후 문제점에 대한 즉각적인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주민들이 그것을 알아 줄 때 보람을 느낀다”고 말하는 강 의장은 “실무 담당자를 우선으로 해서 민원을 해결하는 방법이 일을 순수하게 풀 수 있는 것”이라며 “밑에서부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정호 기자hiho@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