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송파구민들의 숙원이었던 성동구치소 이전이 대규모 장기전세주택 건립계획으로 지역주민들의 실망과 우려를 낳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서울시의회 김원태 의원(사진)은 23일 제34회 정례회 시정 질문을 통해 성동구치소 이적지에 대한 서울시의 장기전세주택 건립 계획과 관련, “지역여건과 주민정서를 외면한 채 특정 지역에 대량의 임대주택을 건립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송파신도시가 예정대로 진행될 경우 서울의 동남권에는 약 2만4500호의 대규모 임대아파트 촌이 건설될 것이며, 이는 건립예정 물량을 포함해 1만1097호인 강남구의 2.2배, 3024호인 강동구의 8.1배이며 473호인 광진구의 약 51.8배에 해당하는 엄청난 물량”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송파신도시 뿐만 아니라 장지지구내 2820호의 장기전세주택을 포함해 마천국민임대주택, 거여·마천 뉴타운지구 등 약 7200호의 임대주택이 각각 건립될 예정으로 있어 그야말로 송파구의 동남 측에는 약 3만4000호 이상의 대규모 임대주택이 들어서게 되므로 새로운 도시문제가 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서울시는 성동구치소 등 공공 이적지에 장기전세주택을 계획하고 있으나, 이 지역은 송파신도시 등 동남권역에 대규모 임대아파트 단지가 건립되는 상황을 감안해 권역별로 형평에 맞출 수 있는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
김 의원은 특히 “성동구치소 부지는 지하철 3·5호선 환승역이 있는 지역으로 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글로벌 정책 추진에 필요한 외국인학교나 특수학교 신설과 글로벌 문화교류센터 추진에도 적합한 지역”이라며 “주민에게는 혐오시설로 지역발전을 가로막는 큰 장애물이었던 이곳을 우리의 아들딸들에게 꿈과 희망을 줄 수 있는 공간으로 되돌려 주는 것이 도리”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이외에도 장지동 장지택지개발 아파트 분양가문제와 관련된 질문을 비롯, 유아교육에 대한 정책과 지원, 삼육재활학교 분교설치에 대한 적법성에 대해 시정 질문을 했다.
/서정익 기자ik11@siminilbo.co.kr
서울시의회 김원태 의원(사진)은 23일 제34회 정례회 시정 질문을 통해 성동구치소 이적지에 대한 서울시의 장기전세주택 건립 계획과 관련, “지역여건과 주민정서를 외면한 채 특정 지역에 대량의 임대주택을 건립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송파신도시가 예정대로 진행될 경우 서울의 동남권에는 약 2만4500호의 대규모 임대아파트 촌이 건설될 것이며, 이는 건립예정 물량을 포함해 1만1097호인 강남구의 2.2배, 3024호인 강동구의 8.1배이며 473호인 광진구의 약 51.8배에 해당하는 엄청난 물량”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송파신도시 뿐만 아니라 장지지구내 2820호의 장기전세주택을 포함해 마천국민임대주택, 거여·마천 뉴타운지구 등 약 7200호의 임대주택이 각각 건립될 예정으로 있어 그야말로 송파구의 동남 측에는 약 3만4000호 이상의 대규모 임대주택이 들어서게 되므로 새로운 도시문제가 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서울시는 성동구치소 등 공공 이적지에 장기전세주택을 계획하고 있으나, 이 지역은 송파신도시 등 동남권역에 대규모 임대아파트 단지가 건립되는 상황을 감안해 권역별로 형평에 맞출 수 있는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
김 의원은 특히 “성동구치소 부지는 지하철 3·5호선 환승역이 있는 지역으로 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글로벌 정책 추진에 필요한 외국인학교나 특수학교 신설과 글로벌 문화교류센터 추진에도 적합한 지역”이라며 “주민에게는 혐오시설로 지역발전을 가로막는 큰 장애물이었던 이곳을 우리의 아들딸들에게 꿈과 희망을 줄 수 있는 공간으로 되돌려 주는 것이 도리”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이외에도 장지동 장지택지개발 아파트 분양가문제와 관련된 질문을 비롯, 유아교육에 대한 정책과 지원, 삼육재활학교 분교설치에 대한 적법성에 대해 시정 질문을 했다.
/서정익 기자ik11@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