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시간 전등 끄기·승강기 대신 계단이용
7~9월 전기요금은 작년보다 1516만원 줄어
서울 영등포구(구청장 김형수)가 그동안 역점적으로 추진해온 에너지 절약 운동이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14일 구에 따르면 구는 고유가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난 6월 자체 에너지 절약계획을 수립하고 7월부터 본격적인 실천운동에 들어갔다.
먼저 냉ㆍ난방기와 승강기, 등기구 등 구청의 전기시설별 현황과 에너지 사용량 분석을 통해 시설일부를 개선하고 지켜야 할 에너지 절약 실천사항을 정했다.
상시 켜져 있는 화장실의 전등을 사람이 들어갈 때만 켜지는 인체 감지 센서 등으로 교체하고 1개의 스위치에 여러 개의 전등이 연결돼있는 사무실의 점등스위치를 팀별 점등스위치 형태로 개선해 전기낭비요인을 없앴다.
이와 함께 각층복도 및 계단 한등 켜기와 사무실 창가 소등, 승강기 사용 중단, 적정온도 도달시 에어컨사용, 사무실 전등 한등씩 줄이기 등을 시행해 나갔다.
또한 컴퓨터나 프린트, 복사기 등 점심시간내 사용하지 않는 사무용기기 전원 끄기와 전등 소등을 철저히 실천했다.
특히 야간 및 휴일에 소수의 직원이 일하면서 불필요한 전등까지 사용하는 경우를 막기 위해 각 부서별에 전기스탠드를 10개씩 배부했다. 배부된 전기스탠드는 각 부서별로 일정공간에 보관하면서 필요한 직원이 사용 후 반납토록 하고 전기스탠드 사용시에는 일체 사무실 전등은 못 켜게 했다.
이런 에너지 절약실천은 곧바로 예산절감 효과로 나타났다.
7월부터 9월 말 현재까지 전력 사용량과 전기요금은 합계 62만8656㎾에 7201만9170원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의 사용량(75만1780㎾)과 요금(8718만6470원)에 비해 12만3124㎾, 1516만7300원이 절감됐다. 더욱이 금년 1~6월 사용한 전기요금이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8.14%(888만410원)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나 에너지절약운동의 효과는 상당한 것으로 보고 있다.
구는 이외에도 절전형 사무용기기 우선구매 의무화와 최대전력 수요 관리 장치 설치, 전자 감응식 수도꼭지 설치, 자전거이용활성화 등 실천 가능한 모든 방법을 다 동원해 에너지 절약 운동을 꾸준히 전개하고 있다.
/정상미 기자top@siminilbo.co.kr
7~9월 전기요금은 작년보다 1516만원 줄어
서울 영등포구(구청장 김형수)가 그동안 역점적으로 추진해온 에너지 절약 운동이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14일 구에 따르면 구는 고유가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난 6월 자체 에너지 절약계획을 수립하고 7월부터 본격적인 실천운동에 들어갔다.
먼저 냉ㆍ난방기와 승강기, 등기구 등 구청의 전기시설별 현황과 에너지 사용량 분석을 통해 시설일부를 개선하고 지켜야 할 에너지 절약 실천사항을 정했다.
상시 켜져 있는 화장실의 전등을 사람이 들어갈 때만 켜지는 인체 감지 센서 등으로 교체하고 1개의 스위치에 여러 개의 전등이 연결돼있는 사무실의 점등스위치를 팀별 점등스위치 형태로 개선해 전기낭비요인을 없앴다.
이와 함께 각층복도 및 계단 한등 켜기와 사무실 창가 소등, 승강기 사용 중단, 적정온도 도달시 에어컨사용, 사무실 전등 한등씩 줄이기 등을 시행해 나갔다.
또한 컴퓨터나 프린트, 복사기 등 점심시간내 사용하지 않는 사무용기기 전원 끄기와 전등 소등을 철저히 실천했다.
특히 야간 및 휴일에 소수의 직원이 일하면서 불필요한 전등까지 사용하는 경우를 막기 위해 각 부서별에 전기스탠드를 10개씩 배부했다. 배부된 전기스탠드는 각 부서별로 일정공간에 보관하면서 필요한 직원이 사용 후 반납토록 하고 전기스탠드 사용시에는 일체 사무실 전등은 못 켜게 했다.
이런 에너지 절약실천은 곧바로 예산절감 효과로 나타났다.
7월부터 9월 말 현재까지 전력 사용량과 전기요금은 합계 62만8656㎾에 7201만9170원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의 사용량(75만1780㎾)과 요금(8718만6470원)에 비해 12만3124㎾, 1516만7300원이 절감됐다. 더욱이 금년 1~6월 사용한 전기요금이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8.14%(888만410원)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나 에너지절약운동의 효과는 상당한 것으로 보고 있다.
구는 이외에도 절전형 사무용기기 우선구매 의무화와 최대전력 수요 관리 장치 설치, 전자 감응식 수도꼭지 설치, 자전거이용활성화 등 실천 가능한 모든 방법을 다 동원해 에너지 절약 운동을 꾸준히 전개하고 있다.
/정상미 기자top@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