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창호 시의원, 여론조사
서울시민 절반 이상이 휴대폰이 학습 환경에 나쁜 영향을 끼치므로 초등학생 휴대폰 교내사용에 대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의회 교육문화위원회 양창호(한나라당 영등포구3) 의원은 13일 보도자료를 통해 “서울시민의 대부분은 휴대폰이 학생들의 학습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초등학생의 경우 교내 휴대폰 사용에 대해 휴대금지, 사용금지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양창호 의원이 시의회 여론조사기구에 의뢰, 지난 7월13~19일 7일간 시민 288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시민 63.4%인 1829명이 ‘교내휴대폰 사용이 학습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고 응답했으며, 23.1%인 666명은 ‘보통’, 13.4%인 388명은 ‘그렇지 않다’고 대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생의 교내휴대폰 휴대에 대해 시민 48.56%인 1394명은 ‘휴대를 반대한다’, 33.96%인 979명은 ‘교내휴대는 찬성하되 교내사용은 반대한다’, 17.79%인 510명은 ‘휴대폰의 휴대에 찬성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조사결과 밝혀졌다.
휴대폰의 교내휴대 및 사용의 통제 방식에 대해서는 시민 55.5%인 1600명이 ‘학교 자율로 규제해야 한다’는 응답을 했으며, 32.2%인 928명은 ‘법률이나 조례로 정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그밖에 12.31%인 355명은 ‘규제가 필요없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0.2%이다.
양 의원은 “휴대폰이 학생들의 학습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많은 서울시민이 찬성하고 초등학생의 경우 사용금지에 대해 절대다수가 찬성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여론조사결과”라며 “다만 다수가 자율규제를 원하는 만큼 서울시교육청이 적절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학교가 학생들을 자율적으로 지도하게 하는 방안을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초등학생들에게는 휴대금지, 사용자제 등의 조치를 취하되 학부모들이 걱정하는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CCTV 확충, 어린이 캐어 시스템 등 학교주변 안전망 구축사업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서울시민 절반 이상이 휴대폰이 학습 환경에 나쁜 영향을 끼치므로 초등학생 휴대폰 교내사용에 대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의회 교육문화위원회 양창호(한나라당 영등포구3) 의원은 13일 보도자료를 통해 “서울시민의 대부분은 휴대폰이 학생들의 학습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초등학생의 경우 교내 휴대폰 사용에 대해 휴대금지, 사용금지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양창호 의원이 시의회 여론조사기구에 의뢰, 지난 7월13~19일 7일간 시민 288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시민 63.4%인 1829명이 ‘교내휴대폰 사용이 학습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고 응답했으며, 23.1%인 666명은 ‘보통’, 13.4%인 388명은 ‘그렇지 않다’고 대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생의 교내휴대폰 휴대에 대해 시민 48.56%인 1394명은 ‘휴대를 반대한다’, 33.96%인 979명은 ‘교내휴대는 찬성하되 교내사용은 반대한다’, 17.79%인 510명은 ‘휴대폰의 휴대에 찬성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조사결과 밝혀졌다.
휴대폰의 교내휴대 및 사용의 통제 방식에 대해서는 시민 55.5%인 1600명이 ‘학교 자율로 규제해야 한다’는 응답을 했으며, 32.2%인 928명은 ‘법률이나 조례로 정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그밖에 12.31%인 355명은 ‘규제가 필요없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0.2%이다.
양 의원은 “휴대폰이 학생들의 학습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많은 서울시민이 찬성하고 초등학생의 경우 사용금지에 대해 절대다수가 찬성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여론조사결과”라며 “다만 다수가 자율규제를 원하는 만큼 서울시교육청이 적절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학교가 학생들을 자율적으로 지도하게 하는 방안을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초등학생들에게는 휴대금지, 사용자제 등의 조치를 취하되 학부모들이 걱정하는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CCTV 확충, 어린이 캐어 시스템 등 학교주변 안전망 구축사업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