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역사재단 있으나 마나

    정치 / 고하승 / 2009-10-12 16:28:31
    • 카카오톡 보내기
    권영진 의원, “민간단체 ‘반크’ 실적 10% 불과” 지적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권영진 의원(서울 노원을)은 12일 동북아역사재단을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에서 “민간단체 반크의 10%도 안 되는 실적”이라고 강력 비판했다.

    권 의원은 “동북아역사재단의 ‘역사왜곡 시정결과’를 분석한 결과, 06년 9월 재단 설립 후 현재까지 동북아역사재단에서 해외 기관에 요청한 역사왜곡 관련 시정요청 건수는 단 10건에 불과했으며, 이 중 시정이 반영된 건수는 3건밖에 되지 않는다”면서 “그나마 이 10건도 모두 중국에 편중되어 있어, 전 세계적으로 퍼져 있는 역사왜곡에 대해 적절히 대처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이에 비해 민간기관인 반크는 2003년 ‘한국 역사의 시작은 668년이라고 왜곡하여 한국사에서 고구려를 누락’한 내셔널 지오그래픽, 미국 야후 등의 대표적인 포털사이트를 시정한 것을 비롯하여 연 평균 8.85건의 해외 역사왜곡 사례를 시정했다는 것.

    권 의원은 “올해 7억 4000만원의 예산이 투입된 동북아역사재단 산하 독도연구소의 ‘표기오류시정사업’의 경우에도 작년 설립 이후부터 현재까지 동해 및 독도의 표기오류가 검색된 836건 중 시정요청이 반영된 건수는 4건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반면 2000년부터 작년까지 정부지원 없이 표기오류시정활동을 해오다, 올해 처음 표기오류시정활동 지원금으로 동북아역사재단으로부터 5000만원을 지원받은 반크는 연평균 30.7건의 동해·독도에 관련된 해외의 표기오류를 시정해와 동북아역사재단과 극명하게 대조를 이뤘다는 것.

    권 의원은 “반크가 동북아역사재단에 비해 시정실적이 크게 앞서는 이유는 반크가 운영하는 ‘사이버 외교관’ 제도에 있다”며 “반크는 한국인 또는 해외 거주 한국인들이 회원으로 가입할 경우 해외 웹사이트에서 오류를 찾는 법, 시정서한 작성법 등을 체계적으로 교육하여 개개인이 사이버 상의 외교관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이러한 1만6000여 명의 반크 소속 사이버 외교관들이 해외 관공서, 유명 사이트 등에서 오류를 확인하고, 직접 서한을 보내 시정요구를 하도록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권 의원은 “동북아역사재단은 역사왜곡 시정활동에 대한 전담팀을 두고 있지 않고, 뚜렷한 시정요구 시스템 역시 갖추고 있지 않다”며, “외교부를 통해 어렵사리 시정요구를 한 후에도 추후 시정여부에 대한 확인 작업을 거치지 않는 등 총체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권 의원은 “민간단체가 훨씬 더 우수한 실적을 내고 있다면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표기오류시정사업은 민간에 맡기고, 동북아 역사재단은 해외의 역사왜곡사례들을 시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응논리를 개발하고, 연구역량을 결집하는 데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하승 고하승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