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희망과 대안’ 공동운영위원장(희망제작소 상임이사)이 20일 “우리의 권력이 잘못 행사되고 있는 것이 너무 많다”고 비판했다.
박 위원장은 이날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용산참사의 경우에 경찰권의 행사라든지, 검찰권이 공정하게 행사되지 않는다든지, 제가 지적한 것처럼 국정원이 민간인들 사찰하고, 기무사 사찰하고...”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는 이명박 대통령 지지율이 조금씩 상승하고 있는 데 대해서도 “지지율이라는 것은 그동안 우리의 경험이나 역대 대통령의 경험을 보더라도 하루아침에 반전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평가절하 했다.
그는 ‘희망과 대안’이 “내년 지방선거에서 좋은 후보를 내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 “완전히 결정된 건 없다”면서도 “좋은 후보를 추천하는 일은 과거에도 제가 했다. 좋은 풀뿌리 후보들이 찾아와서 추천해달라고 하면 제가 좋은 글을 써드렸고, 그런 것들을 좀 더 전국적 단위에서 좀 더 체계적으로 해보자는 얘기들이 있다. 그래서 저도 그것을 못할 바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실상 ‘희망과 대안’이 지방선거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선언인 셈이다.
그러나 박 위원장은 자신이 서울시장 후보 등으로 거론되고 있는 사실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선을 그었다.
박원순 위원장이 몇몇 인터뷰에서 “절대 출마 안 하겠다”고 선언했으나, ‘희망과 대안’ 관계자가 “미래는 장담하지 말라. 여차하면 박원순 대표도 나가야 할지 모른다”고 발언한 것에 대해 “그런 말들은 제가 10년 전, 20년 전부터 들어온 얘기다. 그런 생각이 추호라도 있다면 지금까지 이런 이슬 맞고, 풍차노숙 하는 시민운동에 남아있을 리가 없었다”며 “(출마에 뜻이 있다면)지금 ‘희망과 대안’이라는 조직에 제가 있을 이유가 없다. 제가 선거캠프를 차려야 되는 것 아니냐”고 반문하는 것으로 불출마 의사를 거듭 밝혔다.
그는 내년 지방선거에서 좋은 후보들을 당선시키고, 현 정부의 독주를 막는 것을 목표로 최근 출범한 ‘시민주권모임’과의 차이점에 대해 “저희들 경우에는 과거에 정치하던 사람이 아무도 없고, ‘시민주권’ 거기는 대부분 과거에 정치를 했던 분들”이라며 “그런 차이가 분명히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박 위원장은 “목표나 방향이 같을 수는 있다”며 “그런 관점에서는 같은 뜻을 갖는 그런 단체들끼리, 또는 그런 정책에 관해서는 얼마든지 협력하고 함께 할 수 있는 것”이라고 연대 가능성을 내비쳤다.
한편 '희망과 대안' 하승창 상임운영위원은 같은 날 YTN ‘강승옥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방선거에서 좋은 분들이 지역정치에 참여함으로 해서 지역정책 변화가 있도록 돕겠다는 생각으로 좋은 후보들을 발굴하고 추천하는 일들을 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방선거 참여 방식에 대해 “직접 후보로 나서거나 당을 만들거나 이런 것처럼 들리는데 그런 것은 아니다”라며 “새로운 영역이긴 하지만 그동안 우리 사회에 없었던 시민 정치 운동이라는 것을 한 번 해 보겠다고 하는 생각으로 접근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시민운동이 관계했던 것은 2001년 낙선운동이었던 것 같은데, 거의 십여년 만에 다시 그런 문제를 제기한 셈”이라면서 “그 때는 네거티브 방식이었다면, 이번에는 포지티브 방식을 택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그는 “국회 같은 경우에 지금 당장 저희들한테 다가와 있는 게 아니라서 일단은 지방의회를 중심으로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박 위원장은 이날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용산참사의 경우에 경찰권의 행사라든지, 검찰권이 공정하게 행사되지 않는다든지, 제가 지적한 것처럼 국정원이 민간인들 사찰하고, 기무사 사찰하고...”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는 이명박 대통령 지지율이 조금씩 상승하고 있는 데 대해서도 “지지율이라는 것은 그동안 우리의 경험이나 역대 대통령의 경험을 보더라도 하루아침에 반전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평가절하 했다.
그는 ‘희망과 대안’이 “내년 지방선거에서 좋은 후보를 내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 “완전히 결정된 건 없다”면서도 “좋은 후보를 추천하는 일은 과거에도 제가 했다. 좋은 풀뿌리 후보들이 찾아와서 추천해달라고 하면 제가 좋은 글을 써드렸고, 그런 것들을 좀 더 전국적 단위에서 좀 더 체계적으로 해보자는 얘기들이 있다. 그래서 저도 그것을 못할 바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실상 ‘희망과 대안’이 지방선거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선언인 셈이다.
그러나 박 위원장은 자신이 서울시장 후보 등으로 거론되고 있는 사실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선을 그었다.
박원순 위원장이 몇몇 인터뷰에서 “절대 출마 안 하겠다”고 선언했으나, ‘희망과 대안’ 관계자가 “미래는 장담하지 말라. 여차하면 박원순 대표도 나가야 할지 모른다”고 발언한 것에 대해 “그런 말들은 제가 10년 전, 20년 전부터 들어온 얘기다. 그런 생각이 추호라도 있다면 지금까지 이런 이슬 맞고, 풍차노숙 하는 시민운동에 남아있을 리가 없었다”며 “(출마에 뜻이 있다면)지금 ‘희망과 대안’이라는 조직에 제가 있을 이유가 없다. 제가 선거캠프를 차려야 되는 것 아니냐”고 반문하는 것으로 불출마 의사를 거듭 밝혔다.
그는 내년 지방선거에서 좋은 후보들을 당선시키고, 현 정부의 독주를 막는 것을 목표로 최근 출범한 ‘시민주권모임’과의 차이점에 대해 “저희들 경우에는 과거에 정치하던 사람이 아무도 없고, ‘시민주권’ 거기는 대부분 과거에 정치를 했던 분들”이라며 “그런 차이가 분명히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박 위원장은 “목표나 방향이 같을 수는 있다”며 “그런 관점에서는 같은 뜻을 갖는 그런 단체들끼리, 또는 그런 정책에 관해서는 얼마든지 협력하고 함께 할 수 있는 것”이라고 연대 가능성을 내비쳤다.
한편 '희망과 대안' 하승창 상임운영위원은 같은 날 YTN ‘강승옥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방선거에서 좋은 분들이 지역정치에 참여함으로 해서 지역정책 변화가 있도록 돕겠다는 생각으로 좋은 후보들을 발굴하고 추천하는 일들을 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방선거 참여 방식에 대해 “직접 후보로 나서거나 당을 만들거나 이런 것처럼 들리는데 그런 것은 아니다”라며 “새로운 영역이긴 하지만 그동안 우리 사회에 없었던 시민 정치 운동이라는 것을 한 번 해 보겠다고 하는 생각으로 접근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시민운동이 관계했던 것은 2001년 낙선운동이었던 것 같은데, 거의 십여년 만에 다시 그런 문제를 제기한 셈”이라면서 “그 때는 네거티브 방식이었다면, 이번에는 포지티브 방식을 택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그는 “국회 같은 경우에 지금 당장 저희들한테 다가와 있는 게 아니라서 일단은 지방의회를 중심으로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