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창출 시스템 개선 필요"

    정치 / 문수호 / 2009-11-09 18:02:12
    • 카카오톡 보내기
    """일자리 정확히 파악해 고용알선 적극 나서야"""
    한나라당 황우여 의원이 9일 열린 제284회 정기국회 교육사회문화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일자리를 정확히 파악하고 일자리 창출과 고용알선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일자리 창출 시스템의 개선을 주장했다.

    황 의원에 따르면 현재 올해 9월 통계청 표본조사 결과 경제활동인구는 총 2463만명으로 이 중 취업자는 2380만명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한 실업률은 전체 3.4%였으며, 고용률은 59.2%로 고용률이 가장 높은 제주도는 가장 낮은 부산과 약 13% 이상의 격차를 보였다.

    실업률의 측정은 실업자 수를 경제활동 인구수로 나누고, 이를 전국의 3만3000가구에 상주하는 만 15세 이상 가구원을 대상으로 방문, 면접 조사, 표본결과를 바탕으로 전체인구로 환산하는 방법을 쓰고 있다.

    이에 대해 황 의원은 “이로서는 정확한 통계가 나올 수가 없고 정책수립에 한계가 있다”라며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그는 “프랑스의 상티니 장관은 시(이씨레물리노시)의 시장이 된 후, 공격적인 일자리 창출과, 기업 유치, 주민들의 직업교육 및 알선 등을 통해, 기존의 화학, 무기 공장이었던 이 지역을 미디어, 정보, IT지역으로 바꾸어, 질 좋은 전문직업을 유치하였으며, 총 인구 6만의 소도시 일자리만 9만개 정도를 확보하고 있다”라며 “또한 이씨레물리노시의 정보화 보급을 통해, 일자리의 서비스를 논스톱으로 실시하는 체제도 큰 역할을 했다. 일자리를 정확히 파악하고 일자리창출과 고용알선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

    황 의원은 “현재 광역자치단체장이 선거시 공약한 일자리를 계산한 결과, 44만8천개의 일자리를 공약한 것으로 나왔으며, 지방자치에서 일자리 공약의 수만 확보하여도 대통령께서 약속한 연간 일자리 창출 20만개보다도 많은 일자리를 확보할 수 있다”라며 “지역 특성을 반영한 일자리 창출과 기초단체를 통한 전수조사에 가까운 통계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일자리 창출 관련 책임이 더욱 명확해지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국가가 수행할 정책을 숫자로 나타낸 것이 예산이라면, 그 결과를 숫자로 나타낸 것은 일자리수”라며 “각 선출직 단체장들이 목표로 하는 일자리 수를 출마시 공약하도록 하고 특히 일자리 수는 지자체 장들의 책임과 국민의 감시아래 정확히 파악하여 그 결과를 다음 선거에서 심판받도록 하는 일자리 공시제를 채택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문수호 기자 msh@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문수호 문수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