親盧그룹, 한명숙 수뢰설에 '펄쩍'

    정치 / 문수호 / 2009-12-06 09:13:23
    • 카카오톡 보내기
    "이해찬 ""전두환 시절에도 안 쓰던 악랄한 정치공작"""
    유시민 "盧대통령 죽음 몰아넣었을 때와 같은 방식"

    고 노무현 대통령에 이어 친노 진영의 대표격인 한명숙 전 국무총리가 비자금 조성 혐의로 구속 중인 곽영욱 전 대한통운 사장에게 금품을 수수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파장이 일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과 친노 진영에서는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현재 검찰은 한명숙 전 총리가 대한통운 사장으로부터 ‘2007년 무렵 수만달러를 건넸다’는 진술을 확보하고 대가성 여부를 수사 중에 있다.

    이에 대해 한명숙 전 총리는 4일 성명서를 통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 진실이 저와 함께 하고 있기 때문에 양심에 거리낄 것이 아무것도 없다”고 금품수수 사실을 부인하며, 이를 보도한 일부 신문사에 “12월7일 월요일 같은 면에 같은 크기로 반론을 게재할 것을 요구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법률적 책임을 묻는 절차를 밟을 것이다”고 엄중히 경고했다.

    한명숙 전 총리가 이사장직을 맡고 있는 친노 진영의 노무현 재단에서도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노무현 대통령이 돌아가신 지 불과 6개월 남짓 밖에 안됐는데 또다시 언론과 검찰의 정치공작이 자행되는 게 아닌가 하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라며 “이런 공작 행위가 벌어진다면 모든 것을 걸고 단호히 분쇄하겠다”고 분개했다.

    이해찬 전 총리는 기자간담회에서 “있지도 않은 사실을 검찰이 흘리고 그걸 받아서 언론이 쓰고 이렇게 이어져서 마치 사실인 것처럼 가공해 국민들을 혼란하게 해놓고, 명예를 실추시켜 정치인으로서 의심을 받게 만드는 박정희, 전두환 시절에도 안 쓰던 방법”이라며 “악랄하고 교활한 정치공작이다. 노무현 대통령 때는 우리가 대응을 잘못해서 대통령을 잃었는데 두 번 다시 실수하지 않겠다”고 결의를 보였다.

    이어 유시민 전 장관 역시 “의도는 확실히 모르겠지만 퇴임 후 노무현 대통령의 국민 호감도 올라갈 때 국가기록물 사건으로 시작해서 그렇게 했다. 한명숙 이사장께서 최근 국민의 호감도가 많이 상승한 상황인데, 노무현 대통령을 죽음으로 몰아넣었을 때와 동일한 동기와 동일한 방식에 의해 정치적 공작을 시작한 것이라고 저희는 짐작하고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들은 한 전 총리가 직접 나와 해명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지금 얘기하면 그걸 갖고 다른 기사를 쓰기 위한 소재로 삼고, 가상의 상황을 만들 우려가 크다”면서 “그런 언론공작에 이용당하지 않기 위해 (검찰이) 정확한 사실을 들고 나오면 대응하려는 것이고, 다른 주변적 상황을 만들지 않으려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들은 “하지 않은 일을 입증하기는 어렵다. 검찰이 신문사를 통해 흘려놓은 얘기는 너무 허황하고 구체성이 없는 얘기이다. 그래서 좀 더 기다려야 한다”며 “그쪽에서 뭐가 나오면 사실이 아님을 증명해보일 수 있다. (총리님도) 필요한 때가 되면 본인이 나와서 얘기하실 것이다”고 덧붙였다.

    한편 민주당 우상호 대변인도 이날 국회 브리핑을 통해 “검찰이 근거 없는 사실을 물타기용으로 흘리면서 제1야당의 유력한 서울시장 후보 중 한 분을 흠집내기용으로 언론에 흘리고 있다”고 맹비난하며 “한명숙 전 총리에 대한 기사는 사실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우 대변인은 “검찰의 일부 인사가 이 사실을 확인해준 모양인데, 검찰은 공식적으로 확인해 준적이 없다고 부인하고 있다”며 “한나라당 공성진 최고위원을 수사하면서 물타기용으로 슬쩍 한명숙 전 총리를 거론하는 검찰의 언론플레이에 언론이 이용당하지 말아 줄 것”을 당부했다.

    그러면서 그는 “골프장 게이트, 효성 게이트, 한상률 게이트 등 권력의 비리와 관련해선 속도를 내지 못하는 검찰이 사실이 아닌 일을 가지고 야당의 유력 인사를 흠집내기용으로 언론플레이 하는 못된 버릇은 이대로 묵과할 수 없는 사안”이라며 “반드시 응징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수호 기자 msh@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문수호 문수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