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일자리 사업 '구멍'

    정치 / 문수호 / 2009-12-07 18:10:01
    • 카카오톡 보내기
    부정수급 452건...희망근로, 220건 '最多'
    [시민일보] 각 정부 부처별로 추진하고 있는 일자리 사업의 중복 부정수급자가 상당수인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예상된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한나라당 황영철 의원은 7일 2010년 예산안 종합정책질의에 앞서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며 조속한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황 의원에 따르면 노동부가 지난 8월25일 13개 부처에 입력돼 있는 총 234만3000건 중 중복참여가 우려되는 참여자 7만4000건을 선별해 각 부처에 통보하고 조사를 의뢰한 결과 11월18일 현재까지 전산 오류 등의 착오 2만7000건, 참여기간이 실제로 중복되지 않는 건이 4만6000건으로 확인됐고, 이외 1000여건에 대해서는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현재까지 사업간 중복참여로 인한 부정수급이 확인된 것만 452건(25개 사업)에 달했다.

    사업별로는 행정안전부의 ‘희망근로’가 22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뒤를 이어 노동부의 ‘사회적 일자리’가 59건, 노동부의 ‘신규 실업자 등 직업훈련’ 사업이 31건으로 나타났다.

    특히 행정안전부의 ‘희망근로 프로젝트’(약 41만명)와 노동부의 ‘디딤돌 일자리 창출’(8025명)간 사업 지원 대상이 중복돼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제기돼 두 사업의 전국 대상자 명단을 실제로 대조해 본 결과 총 72명이 두 개의 사업에 중복 참여한 것으로 밝혀졌다.(단, 전남 및 경기도 고양시, 성남시, 이천시 제외)

    지역별로는 서울이 16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도가 12명으로 뒤를 이었다.

    제주도의 경우에는 중복참여자가 단 한 명도 없었다.

    이에 대해 황 의원은 “일부 일자리 사업의 지원 대상이 취업취약계층으로 중복되다 보니 지원대상의 중복 및 부정수급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일모아 시스템을 조속히 정비해 이 예산들이 눈먼돈이 되지 않도록 철저하게 관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문수호 문수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