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스티븐 보즈워스 미국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특사 자격으로 8일 평양을 방문한 것과 관련, 한나라당 정옥임 의원이 “만나서 얘기하는 것 자체가 문제 해결을 뜻하는 건 아니다”라며 다소 부정적 견해를 내비쳤다.
정옥임 의원은 8일 오전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에 출연, ‘보즈워스 대표의 방북으로 6자회담의 조속한 재개 촉진 등은 이미 달성된 목표라는 일부 주장이 있다’는 사회자의 말에 대해 “그렇지 않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정 의원은 “그동안 6자회담 회동 등 많은 회동이 있었는데 이미 북한의 행태라든지 그동안에 북한을 위한 여러 가지 회담의 결과를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다”며 “부시 행정부도 결국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대화로 방향을 틀었지만 결국 문제해결은 하지 않고, 오히려 문제가 더 불거진 측면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이번 보즈워스 대표의 김정일 위원장 면담 가능성에 대해서도 “가능성이 별로 없다”고 추측했다.
그는 “김정일 위원장이 미국 인사들을 면담한 예는 보통 국무장관 이상인데 예전 페리 국방장관이 국방장관직에서 물러난 다음 대북정책 조정관으로 북한을 방문한 예가 있었다. 당시 페리 전 국방장관은 김정일 위원장과의 면담을 강력히 원했으나 면담이 성사되지 않았다”며 실례를 들어 설명했다.
이어 그는 “보즈워스 특사 경우는 미국의 다른 지역 특사하고 달리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분인데 김정일 위원장이 깜짝쇼의 일환으로 면담을 할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볼 수는 없지만 확률로 본다면 가능성은 별로 없을 것”이라며 “만약 만난다면 그것은 김정일 위원장과 북한 정권의 상황이 상당히 다급하다는 것을 방증하는 예가 될 것”이라고 추측했다.
또한 ‘북한의 핵포기 가능성’에 대해서 정 의원은 “전문가적 입장에서 말하면 지금의 북한의 행태를 보면 핵을 포기할 의사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북한 정권의 입장에서 전세계를 대상으로 흔들 수 있는 카드가 핵 카드밖에 없다는 점을 본다면 핵을 쥐고 계속해서 국제사회로부터 무엇을 요구하고 체제경쟁에서 이미 대한민국에게 패배했기 때문에 핵으로써 협박을 하면서 이러한 비대칭적인 현상을 유지하려고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정옥임 의원은 8일 오전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에 출연, ‘보즈워스 대표의 방북으로 6자회담의 조속한 재개 촉진 등은 이미 달성된 목표라는 일부 주장이 있다’는 사회자의 말에 대해 “그렇지 않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정 의원은 “그동안 6자회담 회동 등 많은 회동이 있었는데 이미 북한의 행태라든지 그동안에 북한을 위한 여러 가지 회담의 결과를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다”며 “부시 행정부도 결국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대화로 방향을 틀었지만 결국 문제해결은 하지 않고, 오히려 문제가 더 불거진 측면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이번 보즈워스 대표의 김정일 위원장 면담 가능성에 대해서도 “가능성이 별로 없다”고 추측했다.
그는 “김정일 위원장이 미국 인사들을 면담한 예는 보통 국무장관 이상인데 예전 페리 국방장관이 국방장관직에서 물러난 다음 대북정책 조정관으로 북한을 방문한 예가 있었다. 당시 페리 전 국방장관은 김정일 위원장과의 면담을 강력히 원했으나 면담이 성사되지 않았다”며 실례를 들어 설명했다.
이어 그는 “보즈워스 특사 경우는 미국의 다른 지역 특사하고 달리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분인데 김정일 위원장이 깜짝쇼의 일환으로 면담을 할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볼 수는 없지만 확률로 본다면 가능성은 별로 없을 것”이라며 “만약 만난다면 그것은 김정일 위원장과 북한 정권의 상황이 상당히 다급하다는 것을 방증하는 예가 될 것”이라고 추측했다.
또한 ‘북한의 핵포기 가능성’에 대해서 정 의원은 “전문가적 입장에서 말하면 지금의 북한의 행태를 보면 핵을 포기할 의사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북한 정권의 입장에서 전세계를 대상으로 흔들 수 있는 카드가 핵 카드밖에 없다는 점을 본다면 핵을 쥐고 계속해서 국제사회로부터 무엇을 요구하고 체제경쟁에서 이미 대한민국에게 패배했기 때문에 핵으로써 협박을 하면서 이러한 비대칭적인 현상을 유지하려고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