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국민 과반수가 대운하로 의심되는 예산은 반드시 삭감해 처리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민주당 민주정책연구원이 최근 쟁점이 되고 있는 정책 및 현안과 관련, 지난 25일 전국 만19세 이상 성인남녀 954명을 대상으로 긴급 ARS 전화 여론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구간에서 ±3.17%p)를 실시한 결과 국민 절반 이상인 54.3%가 내년도 예산안 중 대운하로 의심되는 예산을 반드시 삭감해서 처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반면 대운하로 의심되는 예산 삭감여부와 상관없이 처리해야 한다는 의견은 30.4%로 나타났다.
또 국민 10명 중 6명이 넘는 60.4%가 예산안 처리 지연 책임은 대통령과 한나라당에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민주당 등 야당 책임이라는 의견은 27.7%에 그쳤다.
특히 국민 10명 중 7명(71.6%)은 내년도 예산안 처리는 준예산 편성 이전에 대통령과 여야대표 등 3자가 만나는 영수회담을 통해 최대한 노력해 합의 처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반면 연내 여야협상이 타결 안될 경우 준예산을 편성해 집행해도 상관없다는 의견은 22.1%에 불과했다.
여야 영수회담 통한 합의처리 의견은 성별, 연령, 직업과 상관없이 전국적으로 70% 안팎으로 압도적 다수를 차지했고, 한나라당 지지층도 준예산 편성(45.4%) 보다 합의처리(50.9%) 의견이 우세했다.
또한 국민 과반수(53.3%)가 준예산 관련 대통령 발언에 대해 여야가 예산심의 관련 절충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국가 지도자가 야당을 압박하고 국회를 무시하는 부적절한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국가원수로서 국가운영에 관한 원칙적 입장을 밝힌 것을 별 문제 없다는 긍정평가는 35.8%로 나타났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민주당 민주정책연구원이 최근 쟁점이 되고 있는 정책 및 현안과 관련, 지난 25일 전국 만19세 이상 성인남녀 954명을 대상으로 긴급 ARS 전화 여론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구간에서 ±3.17%p)를 실시한 결과 국민 절반 이상인 54.3%가 내년도 예산안 중 대운하로 의심되는 예산을 반드시 삭감해서 처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반면 대운하로 의심되는 예산 삭감여부와 상관없이 처리해야 한다는 의견은 30.4%로 나타났다.
또 국민 10명 중 6명이 넘는 60.4%가 예산안 처리 지연 책임은 대통령과 한나라당에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민주당 등 야당 책임이라는 의견은 27.7%에 그쳤다.
특히 국민 10명 중 7명(71.6%)은 내년도 예산안 처리는 준예산 편성 이전에 대통령과 여야대표 등 3자가 만나는 영수회담을 통해 최대한 노력해 합의 처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반면 연내 여야협상이 타결 안될 경우 준예산을 편성해 집행해도 상관없다는 의견은 22.1%에 불과했다.
여야 영수회담 통한 합의처리 의견은 성별, 연령, 직업과 상관없이 전국적으로 70% 안팎으로 압도적 다수를 차지했고, 한나라당 지지층도 준예산 편성(45.4%) 보다 합의처리(50.9%) 의견이 우세했다.
또한 국민 과반수(53.3%)가 준예산 관련 대통령 발언에 대해 여야가 예산심의 관련 절충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국가 지도자가 야당을 압박하고 국회를 무시하는 부적절한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국가원수로서 국가운영에 관한 원칙적 입장을 밝힌 것을 별 문제 없다는 긍정평가는 35.8%로 나타났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