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한나라당 내 친박 이정현 의원은 11일 세종시 문제와 관련, 친박 내부 균열은 없다는 점을 분명하게 밝혔다.
그는 이날 mbc ‘손석희의 시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친박 대부분은 폐지안에 대해서 반대를 하고 있다. 소위 친박이라고 하는 분들의 대부분은 박근혜라고 하는 사람의 정도의 정치, 바른 정치에 대해서 공감을 해서 스스로 모인 사람들”이라고 밝혔다.
그는 김무성 의원이 수정안을 찬성 것에 대해 “개인적인 판단과 소신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그 분은 ‘박근혜 대표와 항상 함께 가겠다’ 이렇게 얘기했다”며 “소신에 있어서 다소의 차이점은 있을 수 있지만 그런 분들조차도 소위 박근혜 라는 분의 정도 정치가 좋아서 모인 사람들이다. 따로 모여서 회의를 하거나 토론하지 않아도 이심전심으로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수정안에 찬성하느냐 아니면 반대하느냐의 차이는 다소의 차이가 아니라 매우 근본적인 차이 아니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김무성 최고위원이 그런 개인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지만 사실 적극적으로 그것을 피력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수정안 폐지에 대해서 공감을 하고 있는 많은 친박 의원들에 대한 존중의 뜻”이라고 일축했다.
이 의원은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가 최근 ‘강도론’을 둘러싸고 설전을 벌인 것에 대해 “지금 이 경우는 민주당이 주장해서 발생한 문제도 아니고, 또 선진당이 주장해서 발생한 문제도 아니다. 5년 동안 친이든 누구든 상관없이 원안이 당론이라 생각하고 부족한 것 있으면 ‘+α’로 보완하자, 이렇게 전부 생각하고 있었다. 그건 현 당 지도부도 마찬가지다. 심지어는 청와대에 계신 수석들도 과거에 한나라당에 있었을 때 똑같은 생각이었다. 그런데 이것이 갑자기 국무총리에 의해서 뒤집어지니까, 이건 내부에서 뒤집어진 거다”라며 “이건 더 큰 문제 아니겠느냐?”고 지적했다.
그는 세종시 문제 해법으로 “총리가 이 문제를 제기했고 총리가 깨끗하게 철회해버리면 끝난다. 예산도 한 푼도 들어가지 않았다. 한 16억 들었다고 하지만 폐지함으로써 생기는 이익에 비하면 16억은 아무것도 아니다. 그 다음에 법도 마찬가지입니다. 법도 고칠 필요도 없다”고 제시했다.
이어 그는 “이것은 결자해지로 문제를 제기했던 사람이 철회해버리면 깨끗이 끝난다. 항상 모든 것은 사필귀정으로 끝났다”고 거듭 정 총리의 자진철회가 해법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그는 이날 mbc ‘손석희의 시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친박 대부분은 폐지안에 대해서 반대를 하고 있다. 소위 친박이라고 하는 분들의 대부분은 박근혜라고 하는 사람의 정도의 정치, 바른 정치에 대해서 공감을 해서 스스로 모인 사람들”이라고 밝혔다.
그는 김무성 의원이 수정안을 찬성 것에 대해 “개인적인 판단과 소신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그 분은 ‘박근혜 대표와 항상 함께 가겠다’ 이렇게 얘기했다”며 “소신에 있어서 다소의 차이점은 있을 수 있지만 그런 분들조차도 소위 박근혜 라는 분의 정도 정치가 좋아서 모인 사람들이다. 따로 모여서 회의를 하거나 토론하지 않아도 이심전심으로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수정안에 찬성하느냐 아니면 반대하느냐의 차이는 다소의 차이가 아니라 매우 근본적인 차이 아니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김무성 최고위원이 그런 개인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지만 사실 적극적으로 그것을 피력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수정안 폐지에 대해서 공감을 하고 있는 많은 친박 의원들에 대한 존중의 뜻”이라고 일축했다.
이 의원은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가 최근 ‘강도론’을 둘러싸고 설전을 벌인 것에 대해 “지금 이 경우는 민주당이 주장해서 발생한 문제도 아니고, 또 선진당이 주장해서 발생한 문제도 아니다. 5년 동안 친이든 누구든 상관없이 원안이 당론이라 생각하고 부족한 것 있으면 ‘+α’로 보완하자, 이렇게 전부 생각하고 있었다. 그건 현 당 지도부도 마찬가지다. 심지어는 청와대에 계신 수석들도 과거에 한나라당에 있었을 때 똑같은 생각이었다. 그런데 이것이 갑자기 국무총리에 의해서 뒤집어지니까, 이건 내부에서 뒤집어진 거다”라며 “이건 더 큰 문제 아니겠느냐?”고 지적했다.
그는 세종시 문제 해법으로 “총리가 이 문제를 제기했고 총리가 깨끗하게 철회해버리면 끝난다. 예산도 한 푼도 들어가지 않았다. 한 16억 들었다고 하지만 폐지함으로써 생기는 이익에 비하면 16억은 아무것도 아니다. 그 다음에 법도 마찬가지입니다. 법도 고칠 필요도 없다”고 제시했다.
이어 그는 “이것은 결자해지로 문제를 제기했던 사람이 철회해버리면 깨끗이 끝난다. 항상 모든 것은 사필귀정으로 끝났다”고 거듭 정 총리의 자진철회가 해법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