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년간 수도권의 전세값이 급등하면서 1억 원 이하 전세집이 10만가구 이상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지난 12일 기준 수도권의 1억 원 이하 전세아파트는 109만199가구로 작년 3월13일 119만436가구 대비 10만237가구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시·도별로는 경기도의 1억 원 이하 전세집이 70만6932가구에서 65만9701가구로 1년새 4만7231가구 줄었으며 서울은 15만466가구에서 12만7208가구로 2만3258가구가 감소했다.
신도시도 7만6248가구에서 5만5211가구로 2만1037가구가 줄었다. 상대적으로 전세값이 저렴한 인천 역시 25만6790가구에서 24만8079가구로 8711가구의 1억 원 이하 전세집이 모습을 감췄다.
지역별로는 수원의 감소 규모가 가장 컸다. 수원의 1억 원 이하 전세집은 지난해 8만1241가구에서 올해 6만6838가구로 1만4403가구 줄었다. 수원 외에 용인, 산본도 각각 1만1884가구, 1만2016가구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에서 1억 원 이하 전세집이 가장 많이 남아 있는 지역도 수원(6만6838가구)이었다. 다음으로는 남양주가 6만6614가구, 시흥이 6만891가구 등의 순이었다. 이들 3개 도시에 몰려 있는 물량은 경기도 전체 1억 원 이하 전세집의 29.5%를 차지했다.
13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지난 12일 기준 수도권의 1억 원 이하 전세아파트는 109만199가구로 작년 3월13일 119만436가구 대비 10만237가구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시·도별로는 경기도의 1억 원 이하 전세집이 70만6932가구에서 65만9701가구로 1년새 4만7231가구 줄었으며 서울은 15만466가구에서 12만7208가구로 2만3258가구가 감소했다.
신도시도 7만6248가구에서 5만5211가구로 2만1037가구가 줄었다. 상대적으로 전세값이 저렴한 인천 역시 25만6790가구에서 24만8079가구로 8711가구의 1억 원 이하 전세집이 모습을 감췄다.
지역별로는 수원의 감소 규모가 가장 컸다. 수원의 1억 원 이하 전세집은 지난해 8만1241가구에서 올해 6만6838가구로 1만4403가구 줄었다. 수원 외에 용인, 산본도 각각 1만1884가구, 1만2016가구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에서 1억 원 이하 전세집이 가장 많이 남아 있는 지역도 수원(6만6838가구)이었다. 다음으로는 남양주가 6만6614가구, 시흥이 6만891가구 등의 순이었다. 이들 3개 도시에 몰려 있는 물량은 경기도 전체 1억 원 이하 전세집의 29.5%를 차지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