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재건축 아파트값이 5주 연속 하락했다. 재건축 시장의 거래가 끊기면서 호가를 낮춘 물건이 나오고는 있지만 매수심리가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12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은 전주대비 0.12% 떨어졌다. 이는 지난 2월 셋째주 이후 5주 연속 하락세다.
각 구별로는 송파가 0.46% 하락해 가장 큰 내림세를 보였으며 강동과 강남은 각각 0.15%, 0.01%씩 떨어졌다. 서초는 변동이 없었다.
스피드뱅크 조사에서도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은 0.1%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송파(-0.35%), 강동(-0.23%), 강남(-0.09%), 서초(-0.03%) 등 강남 4구가 일제히 약세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달 중순부터 내림세를 이어가고 있는 송파구 잠실동 주공5단지는 이번주에도 거래가 없어 115㎡가 2000만~3000만 원 가량 하락했다. 조합 업무정지 가처분 해제 판결을 앞두고 있는 가락시영도 평형대별로 500만~2000만 원씩 가격이 떨어졌다.
강동구에서는 상일동 고덕주공3단지가 거래없이 1000만 원 떨어졌다. 강남구는 개포지구의 재건축 가이드라인 발표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탄력을 받지 못했다. 조건부 재건축이 확정된 은마아파트도 10억 원 이하 저가매물은 소진됐지만 가격 상승은 없었다.
이 같은 재건축 하락세로 일반아파트를 포함한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도 전주대비 0.01% 하락하며 3주 연속 내림세를 이어갔다.
구별로는 ▲송파(-0.08%) ▲강동(-0.07%) ▲금천(-0.03%) ▲노원(-0.03%) ▲강남(-0.01%) ▲영등포(-0.01%) 등이 떨어졌다.
송파구의 경우 일반아파트 가격도 재건축 시장 침체의 영향을 받아 하락세를 보였다. 송파동 한양1차, 미성 등이 거래가 없어 매물가격이 내렸다.
강동구 고덕시영현대 62㎡는 급매물이 빠지면서 500만 원 가량 상승하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는 약보합세를 유지했다. 금천, 노원, 영등포 등도 하락세를 보여 강남권에서 시작된 거래부진이 서울 전반으로 확산되는 모습을 나타냈다.
반면 ▲동대문(0.04%) ▲도봉(0.02%) ▲마포(0.01%) ▲구로(0.01%) 등은 소형아파트 일부가 거래되면서 가격이 소폭 올랐다.
이번주 0.03% 하락한 신도시에서는 ▲평촌(-0.06%) ▲산본(-0.03%) ▲일산(-0.03%) ▲분당(-0.02%) 순으로 가격이 내렸다.
평촌 비산동 샛별한양1차(6단지) 46㎡가 500만 원 하락하고 산본 가야주공5단지 62㎡는 400만 원 떨어졌다.
신도시를 제외한 경기지역도 0.01% 하락했다. 지역별로는 ▲양주(-0.09%) ▲용인(-0.03%) ▲파주(-0.03%) ▲의정부(-0.02%) ▲안산(-0.02%) ▲광명(-0.01%) ▲수원(-0.01%) 등이 하락세를 보였으며 ▲오산(0.03%) ▲화성(0.02%) ▲부천(0.02%) ▲광주(0.01%) 등은 소폭 올랐다.
12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은 전주대비 0.12% 떨어졌다. 이는 지난 2월 셋째주 이후 5주 연속 하락세다.
각 구별로는 송파가 0.46% 하락해 가장 큰 내림세를 보였으며 강동과 강남은 각각 0.15%, 0.01%씩 떨어졌다. 서초는 변동이 없었다.
스피드뱅크 조사에서도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은 0.1%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송파(-0.35%), 강동(-0.23%), 강남(-0.09%), 서초(-0.03%) 등 강남 4구가 일제히 약세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달 중순부터 내림세를 이어가고 있는 송파구 잠실동 주공5단지는 이번주에도 거래가 없어 115㎡가 2000만~3000만 원 가량 하락했다. 조합 업무정지 가처분 해제 판결을 앞두고 있는 가락시영도 평형대별로 500만~2000만 원씩 가격이 떨어졌다.
강동구에서는 상일동 고덕주공3단지가 거래없이 1000만 원 떨어졌다. 강남구는 개포지구의 재건축 가이드라인 발표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탄력을 받지 못했다. 조건부 재건축이 확정된 은마아파트도 10억 원 이하 저가매물은 소진됐지만 가격 상승은 없었다.
이 같은 재건축 하락세로 일반아파트를 포함한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도 전주대비 0.01% 하락하며 3주 연속 내림세를 이어갔다.
구별로는 ▲송파(-0.08%) ▲강동(-0.07%) ▲금천(-0.03%) ▲노원(-0.03%) ▲강남(-0.01%) ▲영등포(-0.01%) 등이 떨어졌다.
송파구의 경우 일반아파트 가격도 재건축 시장 침체의 영향을 받아 하락세를 보였다. 송파동 한양1차, 미성 등이 거래가 없어 매물가격이 내렸다.
강동구 고덕시영현대 62㎡는 급매물이 빠지면서 500만 원 가량 상승하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는 약보합세를 유지했다. 금천, 노원, 영등포 등도 하락세를 보여 강남권에서 시작된 거래부진이 서울 전반으로 확산되는 모습을 나타냈다.
반면 ▲동대문(0.04%) ▲도봉(0.02%) ▲마포(0.01%) ▲구로(0.01%) 등은 소형아파트 일부가 거래되면서 가격이 소폭 올랐다.
이번주 0.03% 하락한 신도시에서는 ▲평촌(-0.06%) ▲산본(-0.03%) ▲일산(-0.03%) ▲분당(-0.02%) 순으로 가격이 내렸다.
평촌 비산동 샛별한양1차(6단지) 46㎡가 500만 원 하락하고 산본 가야주공5단지 62㎡는 400만 원 떨어졌다.
신도시를 제외한 경기지역도 0.01% 하락했다. 지역별로는 ▲양주(-0.09%) ▲용인(-0.03%) ▲파주(-0.03%) ▲의정부(-0.02%) ▲안산(-0.02%) ▲광명(-0.01%) ▲수원(-0.01%) 등이 하락세를 보였으며 ▲오산(0.03%) ▲화성(0.02%) ▲부천(0.02%) ▲광주(0.01%) 등은 소폭 올랐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