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6.2 지방선거와 관련, ‘반 MB 연대’를 위한 야 5당 및 4개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이른바 ‘5+4 연대’에 대해 ‘이기는 연대가 아니라 지는 연대’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민주당은 서울 25개 구청장 후보 가운데, 강남 성동 광진 중랑 중구 등 5곳에 후보를 내지 않기로 했다.
또 경기도에서는 31개 시.군 기초자치단체장 후보 가운데 하남 오산 이천 김포시와 양평군 등 5곳에 후보를 내지 않는다.
민주당,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 창조한국당 등 야4당과 민주통합시민행동, 시민주권, 희망과 대안, 2010연대 등 4개 시민·사회단체가 지난 16일 서울시와 경기도 기초단체장 선거구 40여곳에 야권 단일후보를 선정하는 내용의 잠정 합의문을 마련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민주당 노웅래 전 의원은 17일 <시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반대세력을 이기는 연대가 돼야 하는데 본래 취지와 거리가 있는 것 같다”며 “우리 민주당이 양보하는 6군데 보니까 단일후보로 나와야 할 다른 당 후보가 민주당 후보와 20% 이상 지지율 차이가 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민주당 후보와 10% 이내 차이가 나는 정도라면 그나마 만회가 가능한데 그 지지율 격차가 너무 크고, 대부분 단일 후보로 나올 다른 정당 인물의 면면 역시 지역에서 생소한 사람들이고 경력자체도 미미하다. 본래 취지에 다르다”고 거듭 잘못된 연대임을 강조했다.
특히 노 전 의원은 “자칫 이기는 연대가 아니라 지는 연대가 될 수도 있다”며 “한나라당을 도와주는 연대라면 무슨 의미 있느냐”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또 그는 “이번 합의에 진보신당이 포함 안됐는데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반이명박 세력의 승리를 위해 만든 합의안에 심상정 노회찬이 빠진 연대라면 의미 없다”며 “고민한 흔적이 있고, 재논의가 쉬운 결정은 아니지만 합리적인 이의제기 차원에서 재논의 요구를 당에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합의문에 따르면 강남구와 성동구는 민주노동당 후보가, 광진구는 국민참여당 후보가, 중구는 창조한국당 후보가, 중랑은 무소속 시민후보가 야권 단일 후보로 나서게 된다.
당초 양천은 진보신당 후보가 단일후보로 나서기로 했으나, 최종 논의 과정에서 진보신당이 불참을 선언해 이 지역은 어느 정당 후보가 단일 후보로 나서게 될지 미지수다.
민주당 후보와 다른 정당 후보가 경선을 통해 단일 후보로 나서는 지역도 3개 지역이나 된다.
은평구는 민주당 후보와 창조한국당 후보가 경선을 통해 승리하는 정당 후보가 단일 후보로 나서게 되고, 성북구와 마포구는 민주당 후보와 국민참여당 후보가 경선을 통해 단일 후보로 출마하게 된다. 이들 지역은 오는 22일까지 경선 방식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밖에 강북구와 도봉구는 추후 논의 지역으로 분류해 놓았다. 따라서 이들 지역 역시 민주당 후보가 출마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 경기도 하남시와 오산시는 민노당 후보가, 이천시와 김포시는 국민참여당 후보가, 양평군은 무소속 시민후보가 단일 후보로 출마하게 된다.
시흥·파주·군포·용인·남양주 등은 추후 논의 지역으로 남겨놓았다. 따라서 이들 지역 역시 민주당 후보가 출마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당초 진보신당 몫으로 배정된 과천시 역시 어떻게 결정될 지 미지수다.
뿐만 아니라 광역의원은 서울 96곳 중 25곳(26%), 경기 112곳 중 31곳(27%), 기초의원은 전체의 30% 정도를 비 민주당 몫으로 하기로 했다.
하지만 해당 지역 민주당 출마예정자들의 반발로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지방선거 특성상 기초자치단체장 후보와 지방의원 후보들의 표가 연계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어서 서울시의원 출마예정자들 및 구의원 출마 예정자들의 불만도 점차 커지고 있다.
더구나 당원들의 의견을 묻지 않고 중앙당에서 일방적으로 특정 지역을 ‘양보 지역’으로 선정한 데 대한 민주당 해당 지역 당원들의 볼멘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어 야권연대 실현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민주당은 서울 25개 구청장 후보 가운데, 강남 성동 광진 중랑 중구 등 5곳에 후보를 내지 않기로 했다.
또 경기도에서는 31개 시.군 기초자치단체장 후보 가운데 하남 오산 이천 김포시와 양평군 등 5곳에 후보를 내지 않는다.
민주당,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 창조한국당 등 야4당과 민주통합시민행동, 시민주권, 희망과 대안, 2010연대 등 4개 시민·사회단체가 지난 16일 서울시와 경기도 기초단체장 선거구 40여곳에 야권 단일후보를 선정하는 내용의 잠정 합의문을 마련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민주당 노웅래 전 의원은 17일 <시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반대세력을 이기는 연대가 돼야 하는데 본래 취지와 거리가 있는 것 같다”며 “우리 민주당이 양보하는 6군데 보니까 단일후보로 나와야 할 다른 당 후보가 민주당 후보와 20% 이상 지지율 차이가 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민주당 후보와 10% 이내 차이가 나는 정도라면 그나마 만회가 가능한데 그 지지율 격차가 너무 크고, 대부분 단일 후보로 나올 다른 정당 인물의 면면 역시 지역에서 생소한 사람들이고 경력자체도 미미하다. 본래 취지에 다르다”고 거듭 잘못된 연대임을 강조했다.
특히 노 전 의원은 “자칫 이기는 연대가 아니라 지는 연대가 될 수도 있다”며 “한나라당을 도와주는 연대라면 무슨 의미 있느냐”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또 그는 “이번 합의에 진보신당이 포함 안됐는데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반이명박 세력의 승리를 위해 만든 합의안에 심상정 노회찬이 빠진 연대라면 의미 없다”며 “고민한 흔적이 있고, 재논의가 쉬운 결정은 아니지만 합리적인 이의제기 차원에서 재논의 요구를 당에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합의문에 따르면 강남구와 성동구는 민주노동당 후보가, 광진구는 국민참여당 후보가, 중구는 창조한국당 후보가, 중랑은 무소속 시민후보가 야권 단일 후보로 나서게 된다.
당초 양천은 진보신당 후보가 단일후보로 나서기로 했으나, 최종 논의 과정에서 진보신당이 불참을 선언해 이 지역은 어느 정당 후보가 단일 후보로 나서게 될지 미지수다.
민주당 후보와 다른 정당 후보가 경선을 통해 단일 후보로 나서는 지역도 3개 지역이나 된다.
은평구는 민주당 후보와 창조한국당 후보가 경선을 통해 승리하는 정당 후보가 단일 후보로 나서게 되고, 성북구와 마포구는 민주당 후보와 국민참여당 후보가 경선을 통해 단일 후보로 출마하게 된다. 이들 지역은 오는 22일까지 경선 방식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밖에 강북구와 도봉구는 추후 논의 지역으로 분류해 놓았다. 따라서 이들 지역 역시 민주당 후보가 출마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 경기도 하남시와 오산시는 민노당 후보가, 이천시와 김포시는 국민참여당 후보가, 양평군은 무소속 시민후보가 단일 후보로 출마하게 된다.
시흥·파주·군포·용인·남양주 등은 추후 논의 지역으로 남겨놓았다. 따라서 이들 지역 역시 민주당 후보가 출마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당초 진보신당 몫으로 배정된 과천시 역시 어떻게 결정될 지 미지수다.
뿐만 아니라 광역의원은 서울 96곳 중 25곳(26%), 경기 112곳 중 31곳(27%), 기초의원은 전체의 30% 정도를 비 민주당 몫으로 하기로 했다.
하지만 해당 지역 민주당 출마예정자들의 반발로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지방선거 특성상 기초자치단체장 후보와 지방의원 후보들의 표가 연계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어서 서울시의원 출마예정자들 및 구의원 출마 예정자들의 불만도 점차 커지고 있다.
더구나 당원들의 의견을 묻지 않고 중앙당에서 일방적으로 특정 지역을 ‘양보 지역’으로 선정한 데 대한 민주당 해당 지역 당원들의 볼멘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어 야권연대 실현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