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공심위원장 면담 요청 답변 없어…후보등록 공심위서 이미 진행했어야
[시민일보] 민주당 서울시장 예비후보인 이계안 전 의원이 뿔났다.
이 전 의원은 24일 당 공천심사위원회의 해당행위에 대한 당 지도부의 조치를 촉구하고 나섰다.
그는 “지금 민주당 지도부는 정당민주주의의 기본인 ‘소통’과 ‘협의’를 거부한 채 민주당을 고사시키고 있다”며 “이번 지방선거를 패배로 몰아가고 있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 전 의원은 “이달 초부터 당 지도부가 경선방법과 시기에 대해 후보자들이 협의할 수 있는 틀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을 당 지도부에 끊임없이 전달했다. 이에 지난 15일, 정세균 대표와 만찬을 가졌으며, 이 자리에서 정 대표는 중앙당 후보등록 이후 후보자들이 경선방식을 논의하는 장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며 “이미 지난 3월 5일, 중앙당은 17일과 18일, 양일에 걸쳐 서울시장 후보등록을 받겠다고 통보해왔고, 당 홈페이지에 필요 내용을 공지했다. 그러나 중앙당 공천심사위원회는 어떤 사전 통지도 없이 일방적으로 후보등록을 취소했으며, 그에 대한 해명 요구에 대해 당은 후보등록 일자 공지 자체를 부인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지난 19일, 공문을 통해 후보등록 무산 경위에 대한 해명과 후보등록 절차 및 일정을 요구했으나 현재까지 당 공심위는 이에 대한 어떠한 답변도 하지 않고 있다”고 비난했다.
특히 그는 “지난 22일에는 공문을 통해 이미경 공심위원장과의 면담을 요청했으며, 그 또한 지금 이 시간까지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전 의원은 “민주당이 서울시장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경선을 통한 국민적 관심 유도”라며 “승리할 수 있는 후보 선출, 경선을 준비하기 위한 과정과 경선일정을 고려한다면 서울시장 후보 등록은 공심위에서 이미 진행됐어야 하는 내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까지의 진행으로 볼 때, 공심위는 반드시 이겨야 할 이번 선거를 이기기 위한 방식으로 치를 의지가 없다. 지방선거 준비 체제의 변화 없이 이대로 간다면 지방선거 결과는 명약관화하다”며 “이미 지방선거 준비와 관련해서 당의 원로와 당의 동량인 후보자들은 물론 당원들의 불만이 위험수위에 와 있다. 당 지도부는 지금이라도 후보등록을 비롯한 지방선거 과정을 정상적으로 만들어야 하며, 이와 같은 사태를 초래한 공심위와 관련 책임자에 대해 공개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전 의원은 “이것이 당을 살리고, 지방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 가장 급박하게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시민일보] 민주당 서울시장 예비후보인 이계안 전 의원이 뿔났다.
이 전 의원은 24일 당 공천심사위원회의 해당행위에 대한 당 지도부의 조치를 촉구하고 나섰다.
그는 “지금 민주당 지도부는 정당민주주의의 기본인 ‘소통’과 ‘협의’를 거부한 채 민주당을 고사시키고 있다”며 “이번 지방선거를 패배로 몰아가고 있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 전 의원은 “이달 초부터 당 지도부가 경선방법과 시기에 대해 후보자들이 협의할 수 있는 틀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을 당 지도부에 끊임없이 전달했다. 이에 지난 15일, 정세균 대표와 만찬을 가졌으며, 이 자리에서 정 대표는 중앙당 후보등록 이후 후보자들이 경선방식을 논의하는 장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며 “이미 지난 3월 5일, 중앙당은 17일과 18일, 양일에 걸쳐 서울시장 후보등록을 받겠다고 통보해왔고, 당 홈페이지에 필요 내용을 공지했다. 그러나 중앙당 공천심사위원회는 어떤 사전 통지도 없이 일방적으로 후보등록을 취소했으며, 그에 대한 해명 요구에 대해 당은 후보등록 일자 공지 자체를 부인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지난 19일, 공문을 통해 후보등록 무산 경위에 대한 해명과 후보등록 절차 및 일정을 요구했으나 현재까지 당 공심위는 이에 대한 어떠한 답변도 하지 않고 있다”고 비난했다.
특히 그는 “지난 22일에는 공문을 통해 이미경 공심위원장과의 면담을 요청했으며, 그 또한 지금 이 시간까지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전 의원은 “민주당이 서울시장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경선을 통한 국민적 관심 유도”라며 “승리할 수 있는 후보 선출, 경선을 준비하기 위한 과정과 경선일정을 고려한다면 서울시장 후보 등록은 공심위에서 이미 진행됐어야 하는 내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까지의 진행으로 볼 때, 공심위는 반드시 이겨야 할 이번 선거를 이기기 위한 방식으로 치를 의지가 없다. 지방선거 준비 체제의 변화 없이 이대로 간다면 지방선거 결과는 명약관화하다”며 “이미 지방선거 준비와 관련해서 당의 원로와 당의 동량인 후보자들은 물론 당원들의 불만이 위험수위에 와 있다. 당 지도부는 지금이라도 후보등록을 비롯한 지방선거 과정을 정상적으로 만들어야 하며, 이와 같은 사태를 초래한 공심위와 관련 책임자에 대해 공개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전 의원은 “이것이 당을 살리고, 지방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 가장 급박하게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