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앞으로 아이폰 뿐 아니라 다른 스마트폰에서도 전자정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이달 중으로 공공부문 모바일 응용서비스에 대한 개발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고 11일 밝혔다.
그동안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모바일 응용서비스는 아이폰을 통해서만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어 다른 단말기 이용자들의 서비스 접근이 제한됐다.
행안부는 우선 모바일 응용서비스 제공을 위해 모바일 웹(Mobile Web) 및 모바일 앱(Mobile App) 개발을 위한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
모바일 웹(Mobile Web)은 단말기 유형과 브라우저에 관계없이 이용이 가능하지만 브라우저 기동 및 데이터 전송량 때문에 속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모바일 앱(Mobile App)으로 개발할 경우 실행속도는 빠르지만 특정 단말기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다. 동일한 응용서비스를 단말기 기종 및 플랫폼 별로 개발해야 한다.
또 행안부는 모바일 웹(Mobile Web)에서 브라우저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침도 마련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모바일 웹 개발자가 실제 개발환경에서 지침을 원활히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매뉴얼도 제작해 보급하기로 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마이크로소프트(MS)에 종속된 우리나라 유선 인터넷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 대대적인 웹사이트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며 "모바일 환경에서도 공공이 제공하는 응용서비스가 특정 단말기나 브라우저에 종속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행안부는 28일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공청회를 열어 정부의 '모바일 표준화 방안'을 발표하고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민장홍 기자 mjh@siminilbo.co.kr
행정안전부는 이달 중으로 공공부문 모바일 응용서비스에 대한 개발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고 11일 밝혔다.
그동안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모바일 응용서비스는 아이폰을 통해서만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어 다른 단말기 이용자들의 서비스 접근이 제한됐다.
행안부는 우선 모바일 응용서비스 제공을 위해 모바일 웹(Mobile Web) 및 모바일 앱(Mobile App) 개발을 위한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
모바일 웹(Mobile Web)은 단말기 유형과 브라우저에 관계없이 이용이 가능하지만 브라우저 기동 및 데이터 전송량 때문에 속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모바일 앱(Mobile App)으로 개발할 경우 실행속도는 빠르지만 특정 단말기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다. 동일한 응용서비스를 단말기 기종 및 플랫폼 별로 개발해야 한다.
또 행안부는 모바일 웹(Mobile Web)에서 브라우저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침도 마련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모바일 웹 개발자가 실제 개발환경에서 지침을 원활히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매뉴얼도 제작해 보급하기로 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마이크로소프트(MS)에 종속된 우리나라 유선 인터넷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 대대적인 웹사이트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며 "모바일 환경에서도 공공이 제공하는 응용서비스가 특정 단말기나 브라우저에 종속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행안부는 28일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공청회를 열어 정부의 '모바일 표준화 방안'을 발표하고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민장홍 기자 mjh@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