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는 ‘리틀 MB’다”

    정치 / 고하승 / 2010-04-12 11:54:14
    • 카카오톡 보내기
    김진표 후보, 김 지사 ‘오만과 독선’ 맹비난
    [시민일보] 민주당 경기도지사 후보로 확정된 김진표 의원은 12일 김문수 현 지사를 향해 ‘리틀 MB’라며 강하게 비난했다.

    그는 이날 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오만과 독선에 빠져서 자기만 옳다는(생각), 그리고 남의 이야기를 듣지 않고 밀어붙이는 너무 지나치게 정치쇼에 치중하는 이런 점들이 모두 같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는 경쟁 후보였던 이종걸 의원이 경선 불참을 선언했한 것에 대해 “좋은 길동무라고 생각했는데 아쉽다”며 “잠시 경쟁관계에 있었지만 민주당을 위해서 또 경기도를 위해서 이번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서 끝까지 손잡고 함께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최대의 관심사인 유시민 국민참여당 후보와의 단일화 여부에 대해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는 “유시민 후보나 저나 결국 목적이 같고 대의명분이 따라야 하기 때문에 (후보단일화가)이뤄질 것”이라며 “국민들이 원하는대로 이번 협상이 단일화 돼서 야당들이 참 잘했다는 말을 들어야 선거에서 이길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야권 연대 협상 대표들이 국민참여경선 50%, 여론조사 50%에 의견 접근을 이룬 것에 대해 “여론조사를 전화기로만 듣는 거는 좀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여론 조사가 휴대폰 전화가 일반화 되어가는 상황에서 가정전화에만 의존하니까 과연 진정한 여론을 반영하느냐의 문제, 오차범위의 문제가 있다. 최근 여러 여론 조사를 보면 유시민 후보나 저 사이에 격차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 오차 범위 이내에 여론조사로 선택해서 그것만 갖고 결정한다는 것은 도박하는 거나 마찬가지”라고 우려했다.

    따라서 그는 “야권후보를 지지하는 분위기를 끌어올리는 소위 흥행을 도모하기 위해서도 노무현 대통령을 대통령으로 만들 때 썼던 국민경선 방법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5+4가 정해지는 대로 따라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유시민 국참당 후보에 대해 “아주 콘크리트처럼 단단한 지지층이 있다는 정치분석가들의 얘기가 있지만 유시민 후보가 갖고 있는 한계가 콘크리트처럼 강한 반대세력도 있다는 것”이라며 “초기에는 항상 고정화된 지지층 때문에 높은 비율을 유지하지만 본선에 가서 마지막 결승전에 가보면 그게 그대로 콘크리트처럼 굳어지고 중간지대에 있는 무당파 중도층을 누가 얼마나 흡수하느냐에 승패가 갈리는데 그런 능력에서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진보신당 심상정 전 대표가 이른바 ‘5+4연대’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표명하고 있는 것에 대해 김진표 후보는 “야권이 모두 단일화해서 연대를 이루어서 반드시 이명박 정부 또 리틀 이명박이라 불리는 김문수 도정의 실패를 심판해달라는 것 아니냐”며 “그런 뜻에 부응하는 쪽으로 심상정 후보도 결국은 동참하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특히 김 후보는 경기도지시가 되면 모든 권한을 동원해서 경기도 땅에서 진행 중인 4대강 사업을 중단시키겠다고 약속한 것과 관련, “법률에 정해진 환경오염평가라든가 문화재조사도 전혀 거치지 않는 불법적 추진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양평지역 25만평에 이르는 유기농 단지는, 다 훼손해서 시멘트 발라서 자전거 도로 공원을 만든다는 건데, 누가 봐도 현재의 양평 양수리 지역은 그 자체가 최상의 공원이다. 유기농 단지가 지역 농민들의 생활터전이지만 동시에 수도권 주민들에게 유기농의 60%이상을 공급하는 먹거리 공급처”라며 “2011년 세계 유기농 대회를 바로 거기서 열도록 되어있고, 그 유기농 대회를 유치할 때 대표로 갔던 농민들과 김문수 지사가 이태리에서 유치 현장에서 만세를 부르던 사진이 팔당 유기농 단지에 거꾸로 걸려있다. 지금 유기농 단지가 없는 세계 유기농 대회를 경기도에 열어야 할 형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2000만명이 넘는 수도권 주민들의 식수원인 팔당호 오염을 막기 위해서도 여주에 보를 설치해서는 안되고, 팔당호에 주요 오염원인 경안천 같은 지천에 투자를 해야 수질 오염을 막을 수 있다”며 “전문가들의 80%가 왜 한결같이 반대를 할까, 이런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좀 더 합법적인 절차를 거치면서 이 문제를 정상화시켜야 되기 때문에 일단 중단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북부지역 지자체와 사회단체를 중심으로 분도론이 꾸준하게 제기되고 있는 것에 대해“선거가 끝나는 대로 그걸 협의해서 하나의 틀을 만들고 큰 틀 속에서 주민들의 의사를 직접 확인해서 이거야말로 주민들의 투표로 과정을 거쳐서 결정되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하승 고하승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