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 후반기 MB號 '새 라인' 누가 탑승하나

    정치 / 고하승 / 2010-07-07 16:47:50
    • 카카오톡 보내기
    이동관 靑 홍보수석, 조직개편 관련 브리핑
    "신입 대통령실장 늦어도 내주 초 확정ㆍ발표 할 것... 국민과 소통 강화등 효율적 국정운영 관리에 초점"
    "사회통합수석ㆍ미래전략기획관ㆍ정책지원관 신설... '공석' 정책실장, 외교안보수석실은 그대로 유지"

    [시민일보] 청와대는 7일 신임 대통령실장 인선과 관련해 "늦어도 다음주 초까지 확정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이동관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날 청와대 춘추관에서 가진 새 조직개편 내용과 관련해 가진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수석은 또 신임 수석비서관 인선과 관련해서는 "새로 임명되는 대통령실장과 대통령이 협의해 다음주 중·후반 이후에 인선이 마무리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날 발표된 조직개편의 초점과 관련해서는 "3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국민과의 소통 강화, 미래에 대한 준비, 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의 개발과 집행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체제"라며 "집권 후반기에 어떻게 효율적인 국정운영과 관리를 할 것인지에 초점이 맞춰졌다"고 설명했다.

    이 수석은 이날 개편 발표내용과 관련해 "1대통령실장, 1경호처장, 1정책실장이고 수석도 기존 8명으로 변화 없다"며 "기획관이 기존 3명에서 4명으로 늘어나게 됐다"고 설명했다.

    기획관급에는 인사기획관과 총무기획관, 신설된 미래전략기획관외에 정책지원관이 포함된다. 또 비서관은 43명에서 45명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 수석은 "큰 틀로 보면 기존 청와대 시스템이 크게 늘어나는 것은 아니다"라며 "처음에는 효율적이고 슬림한 청와대를 지향했지만 필요하다면 융통성을 갖고 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책실장 인선 계획에 대해서는 "그렇게 될 것"이라며 실장 인선이 포함될 것임을 시사했다. 정책실장 밑에 정책지원관이 신설된 데 대해서는 "국책사업이나 주요 정책은 특화돼있기 때문에 정책부서와 같이 움직이는 게 좋겠다는 차원에서 둔 것"이라며 "정책실장이 총괄은 하지만 정무적 역할이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메시지기획관실과 홍보수석실의 통합 배경에 대해서는 "대통령 PI(Presidential Identity)와 홍보를 어떻게 따로 하겠느냐"며 "그동안 약간 불편함이 있었다. 대통령 PI와 홍보는 실행수단이 따로 떨어져 머리와 손발이 따로 논다는 측면이 있었고, 그래서 통합된 것이다. 통합이 정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뉴미디어홍보를 대폭 강화할 것"이라며 "온라인 PI, 온라인 홍보기획, 온라인 여론기획, 온라인 정책 등 홍보역량의 상당부분을 온라인 쪽으로 옮겨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회복지수석과 사회통합수석 밑에 각각 신설된 서민정책비서관, 국민소통비서관에 대해서는 "서민정책비서관은 친서민정책을 개발·집행하는 것이고 국민소통은 종교·시민단체를 담당하는 것"이라며 "한 쪽은 정책이고 다른 한 쪽은 시민사회 쪽이다. 전혀 다르다"고 말했다.

    이 수석은 또 치안비서관이 민정수석실에서 정무수석실로 이동한 이유에 대해서는, 과거에도 주로 정무수석실에 있었다는 점을 들면서 "아무래도 행정안전부와 경찰이 밀접하다는 측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청와대는 이날 조직개편을 완료했다.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차원에서 사회통합수석이 신설되고, 국정기획수석이 없어지는 대신 미래전략기획관과 정책지원관 등이 신설된다. 아울러 다른 수석실도 소관업무 등이 일부 조정된다.

    청와대가 발표한 조직개편 내용에 따르면 대통령실 산하에 사회통합수석이 신설된다. 사회통합수석 아래에는 국민소통비서관과 시민사회비서관, 민원관리비서관 등을 두게 된다. 신설된 국민소통비서관 외에 시민사회비서관은 기존 정무수석실에서 넘어오고 민원관리비서관은 기존 민정수석실의 민원제도개선비서관이 바뀐 것으로 보인다.

    정무수석실과 민정수석실도 다소 업무 조정이 이뤄진다. 정무수석실은 기존 정무1, 2 및 행정자치 외에 치안비서관이 기존 민정수석실로부터 이동했다. 민정수석실에는 기존 6개 비서관 가운데 치안, 민원제도개선비서관이 빠진 민정1, 2, 공직기강, 법무 등 4개 비서관만 남게 됐다.

    이와 함께 공석이던 청와대 정책실장 자리는 그대로 유지된다. 또 산하에 정책지원관과 국제경제보좌관, 미래전략지원관이 신설된다.

    정책지원관에는 국정과제, 지역발전, 정책홍보지원비서관을 두도록 했다. 국정과제, 지역발전은 없어지는 국정기획수석실에서 정책홍보지원비서관은 기존 홍보수석실의 국정홍보비서관을 변경한 것으로 읽힌다.

    또 미래전략기획관은 과학기술, 방송정보통신, 환경녹색성장 등 3개 비서관을 산하에 두고 신설된다. 기존 교육과학문화수석실의 과학기술비서관 및 국정기획수석실의 방송정보통신비서관을 데려오고, 사회정책수석실의 환경비서관에 녹색성장 기능을 추가해 산하에 뒀다.

    아울러 기존의 사회정책수석은 복지를 강조해 사회복지수석으로 이름이 바뀐다. 또 산하에 기존 보건복지, 여성가족, 고용노사 외에 서민정책비서관이 신설된다.

    홍보수석실은 홍보기획비서관이 생기는 대신 언론비서관, 국정홍보비서관이 없어지고, 해외홍보비서관이 신설된다. 또 대변인은 기존 2명 체제에서 1명 체제로 바뀌게 됐다.

    이 밖에 외교안보수석실과 경제수석실은 기존 체제대로 유지된다.

    이와 함께 대통령실장 바로 아래에는 제1, 2부속실장 및 의전비서관, 기획조정실, 연설기록비서관, 총무기획관, 인사기획관 등이 있게 된다. 기존 메시지기획관은 없어지는 대신 산하에 있던 연설기록비서관만 남겼고, 기획관리비서관은 기획조정실로 변경됐다.

    민장홍 기자 mjh@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하승 고하승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