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의 보도자료 앞부분만 딴 것, 국토부의 오보… 정보를 왜곡했다"
[시민일보] 정부의 4대강 사업과 관련, 야권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찬성 입장으로 돌아서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는 것에 대해 민주당 김진애 의원이 “분명한 오보”라며 반박하고 나섰다.
민주당 4대강 사업저지특위 간사인 김진애 의원은 5일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충남, 충북에서 국토부에 보낸 공문도 확인했고 충북도지사, 충남의 정무부지사하고 다 확인을 했다”면서 “충남에서는 재검토특위를 가동하고 있고 충북에서도 검증위원회를 가동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김 의원은 “4대강 사업의 큰 부분이 워낙 중요하기 때문에 도지사가 독단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민간과 전문가, 주민들의 의견을 들어서 그런 조치를 마련하는 건 중요하고 그런 점에서 소통을 중요시 여기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원칙은 이것을 재검토하되 그 결과에 대해선 민주당으로서도 지방자치단체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 것이냐 하는 걸 저희가 압박할 수 있는 건 아니다”라며 “충북 같은 경우에는 대형보라든가 준설이 없기 때문에 생태하천 추진이 있을 순 있지만 다만 충북에서도 검증위원회에서 고치고 있는 건 소형보를 할 것이냐 말것이냐 등을 검증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정부의 4대강 사업에 대한 민주당의 공식 입장에 대해 “4대강 사업은 여러 가지 것으로 구성이 돼 있는데 그 중 수질개선을 할 수 있는 부분, 그 다음 제방을 안전을 위해서 한다든가 이런 건 계속해야 하는 것”이라며 “그러나 16개의 보를 만들고 대형 준설을 하고 불필요한 저수지 둑을 높이는 것은 불필요한 사업이라고 원칙을 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충청남도가 금강살 리가 사업 4개 공구에 대해 정상 추진임을 밝힌 것에 대해서는 “금강살리기 4개 공구에서 하고 있는 건 대형보 등 준설이 크게 있지 않다. 정상추진이라고 하는 건 사업이 발주가 돼서 추진되고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금 검증위원회나 재검토 위원회가 가동 되고 있기 때문에 정밀조사를 하고 난 다음에 원칙을 얘기하는 게 맞다”며 “기자들보다도 국토부에서 충청남도에서 내놓은 보도자료 앞부분만 따서 보도자료를 만들었다. 국토부의 오보고 정보를 왜곡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 부분에 대해선 민주당으로서도 확실하게 대응을 할 것”이라고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한편 충청남도측은 금강사업과 관련한 보도들에 대해 “4대강 사업과 금강사업에서 구체적으로 사실관계를 파악을 못해 생기는 문제”라고 해명했다.
김종민 충남 정무부지사는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저희가 이 사업에 대해 정상 추진 중이고 여기에서 문제가 되면 개선해 나가겠다고 한 얘기는 이 4대강 사업에 핵심적으로 문제를 삼고 있는 보나 대형 준설사업이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 4대강 사업이 문제가 있으니 재검토하자고 하는 것이고 이 재검토 과정을 국토부랑 같이 하자, 금강사업에 대해 지금 각 지역주민들의 여론도 수렴하고 문제가 되는 것은 같이 조사해서 같이 재검토 작업을 하자고 제안을 한 것이 어제 기자회견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라고 덧붙였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시민일보] 정부의 4대강 사업과 관련, 야권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찬성 입장으로 돌아서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는 것에 대해 민주당 김진애 의원이 “분명한 오보”라며 반박하고 나섰다.
민주당 4대강 사업저지특위 간사인 김진애 의원은 5일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충남, 충북에서 국토부에 보낸 공문도 확인했고 충북도지사, 충남의 정무부지사하고 다 확인을 했다”면서 “충남에서는 재검토특위를 가동하고 있고 충북에서도 검증위원회를 가동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김 의원은 “4대강 사업의 큰 부분이 워낙 중요하기 때문에 도지사가 독단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민간과 전문가, 주민들의 의견을 들어서 그런 조치를 마련하는 건 중요하고 그런 점에서 소통을 중요시 여기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원칙은 이것을 재검토하되 그 결과에 대해선 민주당으로서도 지방자치단체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 것이냐 하는 걸 저희가 압박할 수 있는 건 아니다”라며 “충북 같은 경우에는 대형보라든가 준설이 없기 때문에 생태하천 추진이 있을 순 있지만 다만 충북에서도 검증위원회에서 고치고 있는 건 소형보를 할 것이냐 말것이냐 등을 검증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정부의 4대강 사업에 대한 민주당의 공식 입장에 대해 “4대강 사업은 여러 가지 것으로 구성이 돼 있는데 그 중 수질개선을 할 수 있는 부분, 그 다음 제방을 안전을 위해서 한다든가 이런 건 계속해야 하는 것”이라며 “그러나 16개의 보를 만들고 대형 준설을 하고 불필요한 저수지 둑을 높이는 것은 불필요한 사업이라고 원칙을 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충청남도가 금강살 리가 사업 4개 공구에 대해 정상 추진임을 밝힌 것에 대해서는 “금강살리기 4개 공구에서 하고 있는 건 대형보 등 준설이 크게 있지 않다. 정상추진이라고 하는 건 사업이 발주가 돼서 추진되고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금 검증위원회나 재검토 위원회가 가동 되고 있기 때문에 정밀조사를 하고 난 다음에 원칙을 얘기하는 게 맞다”며 “기자들보다도 국토부에서 충청남도에서 내놓은 보도자료 앞부분만 따서 보도자료를 만들었다. 국토부의 오보고 정보를 왜곡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 부분에 대해선 민주당으로서도 확실하게 대응을 할 것”이라고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한편 충청남도측은 금강사업과 관련한 보도들에 대해 “4대강 사업과 금강사업에서 구체적으로 사실관계를 파악을 못해 생기는 문제”라고 해명했다.
김종민 충남 정무부지사는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저희가 이 사업에 대해 정상 추진 중이고 여기에서 문제가 되면 개선해 나가겠다고 한 얘기는 이 4대강 사업에 핵심적으로 문제를 삼고 있는 보나 대형 준설사업이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 4대강 사업이 문제가 있으니 재검토하자고 하는 것이고 이 재검토 과정을 국토부랑 같이 하자, 금강사업에 대해 지금 각 지역주민들의 여론도 수렴하고 문제가 되는 것은 같이 조사해서 같이 재검토 작업을 하자고 제안을 한 것이 어제 기자회견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라고 덧붙였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