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상당수 의원들 찬성하지만 빅딜은 있을 수 없는 일"
親朴 "분권형 개헌 의사 밝힌 것은 이재오 개인적인 생각"
[시민일보] 국회 국정감사가 중반으로 접어들고 있는 가운데, 개헌론이 저치권의 핫이슈로 떠올랐다.
이재오 특임장관 등 여권 주류 측이 연내 개헌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는 반면, 민주당과 한나라당 내 친박계는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는 13일 한나라당의 4대강특위와 개헌특위 빅딜제안에 대해 “아이들 사탕도 아니고 받아먹을 수가 없다”고 단호하게 거절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CBS <변상욱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지금 물리적으로 시간이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나 그는 개헌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을 표했다.
박 원내대표는 “저는 원칙적으로 개헌을 찬성하고 있고, 우리 민주당의 상당수 의원들도 찬성을 하고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이것은 얼마든지 당내에서 논의를 하고, 또 개헌특위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이것을 4대강 특위나 SSM특위나 정부가 오히려 필요한 한-EU FTA 특위, 이런 것과 빅딜을 하자고 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이런 식의 개헌특위 구성은 반대”라고 거듭 강조했다.
하지만 개헌에 대해서는 손학규 대표가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박 원내대표는 “같은 정당을 하더라도 이견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개인적 갈등이 있는 게 아니고, 아직도 터놓고 얘기를 안 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또 그는 여권이 연내 개헌 관철의지를 갖고 있는 것에 대해 “금년 내에 모든 것이 마무리되지 않으면 최소한 국민투표까지, 내년 봄까지 이루어지지 않으면 개헌은 어려워진다”고 부정적인 전망을 했다.
이어 그는 “이명박 대통령께서도 개헌에 진정성이 있었다고 하면 임기 초에 하셨어야 된다. 왜 지금까지 아무런 얘기 하지 않다가 이제 3년째 돼가지고 개헌문제를 드라이브 하려고 하는 것이냐”며 “그것도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나라당 내 친박계 한선교 의원도 개헌 빅딜설에 대해 “옳지 않다”며 “지금 이 시기에 개헌을 해야 되겠는가 하는 여론은 형성되어있지 않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특히 한 의원은 전날 이재오 특임장관이 “개헌을 빨리 빨리 서두르자, 또 개헌을 하는데 있어서 그 중심축은 역시 분권형 대통령제다. 나름대로 의견은 많이 모아져있다”며 ‘분권형 개헌’의사를 밝힌 것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국회 안에는 한나라당만 있는 게 아니고, 야당들도 많지 않느냐”며 “그쪽에선 그런 컨센서스(consensus)가 형성됐다고 보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대통령제를 제대로 우리가 운영해나가면 되는 것”이라며 “대통령제 문제가 무엇이냐, 5년 단임이다, 그러면 4년 중임으로 하면 되는 것이지, 분권형으로 대통령의 권한을 나눠줘서 될 것이냐”고 반문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親朴 "분권형 개헌 의사 밝힌 것은 이재오 개인적인 생각"
[시민일보] 국회 국정감사가 중반으로 접어들고 있는 가운데, 개헌론이 저치권의 핫이슈로 떠올랐다.
이재오 특임장관 등 여권 주류 측이 연내 개헌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는 반면, 민주당과 한나라당 내 친박계는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는 13일 한나라당의 4대강특위와 개헌특위 빅딜제안에 대해 “아이들 사탕도 아니고 받아먹을 수가 없다”고 단호하게 거절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CBS <변상욱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지금 물리적으로 시간이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나 그는 개헌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을 표했다.
박 원내대표는 “저는 원칙적으로 개헌을 찬성하고 있고, 우리 민주당의 상당수 의원들도 찬성을 하고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이것은 얼마든지 당내에서 논의를 하고, 또 개헌특위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이것을 4대강 특위나 SSM특위나 정부가 오히려 필요한 한-EU FTA 특위, 이런 것과 빅딜을 하자고 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이런 식의 개헌특위 구성은 반대”라고 거듭 강조했다.
하지만 개헌에 대해서는 손학규 대표가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박 원내대표는 “같은 정당을 하더라도 이견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개인적 갈등이 있는 게 아니고, 아직도 터놓고 얘기를 안 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또 그는 여권이 연내 개헌 관철의지를 갖고 있는 것에 대해 “금년 내에 모든 것이 마무리되지 않으면 최소한 국민투표까지, 내년 봄까지 이루어지지 않으면 개헌은 어려워진다”고 부정적인 전망을 했다.
이어 그는 “이명박 대통령께서도 개헌에 진정성이 있었다고 하면 임기 초에 하셨어야 된다. 왜 지금까지 아무런 얘기 하지 않다가 이제 3년째 돼가지고 개헌문제를 드라이브 하려고 하는 것이냐”며 “그것도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나라당 내 친박계 한선교 의원도 개헌 빅딜설에 대해 “옳지 않다”며 “지금 이 시기에 개헌을 해야 되겠는가 하는 여론은 형성되어있지 않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특히 한 의원은 전날 이재오 특임장관이 “개헌을 빨리 빨리 서두르자, 또 개헌을 하는데 있어서 그 중심축은 역시 분권형 대통령제다. 나름대로 의견은 많이 모아져있다”며 ‘분권형 개헌’의사를 밝힌 것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국회 안에는 한나라당만 있는 게 아니고, 야당들도 많지 않느냐”며 “그쪽에선 그런 컨센서스(consensus)가 형성됐다고 보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대통령제를 제대로 우리가 운영해나가면 되는 것”이라며 “대통령제 문제가 무엇이냐, 5년 단임이다, 그러면 4년 중임으로 하면 되는 것이지, 분권형으로 대통령의 권한을 나눠줘서 될 것이냐”고 반문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