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서울시가 서해뱃길 사업을 추진하면서 서울항에 화물 처리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사실상의 운하사업이라는 의구심이 증폭되고 있다.
오승록 시의원은 23일 한강사업본부 행정사무감사에서 ‘모바일하버 도입방안 검토 보고’라는 서울시 내부 문건을 공개하면서 “서해뱃길 사업은 뱃길이 아닌 운하사업임이 드러났다”며 사업의 전면전인 중단을 촉구했다.
지금까지 서울시는 서해뱃길의 경우 여객관광선만 운항할 계획이며, 화물선 운항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이번 문건을 통해 화물 처리까지 추진한 것으로 드러나 그 파문이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될 전망이다.
오 의원이 이날 공개한 문건에 따르면 지난 2009년 8월 21일 오세훈 시장은 “대형화물선이 김포까지 입항시에 KAIST에서 개발하고 있는 모바일 하버를 이용한 화물 하역시스템을 설계시 검토하여 추진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에 한강사업본부는 5개월간 심도 있는 검토를 거쳐, 2010년 1월 “모바일 하버 도입은 장기과제로 추진하되, 서해뱃길 사업에 물류기능 도입 방안을 검토하고 모바일 하버 개발에 따른 한강 적용성 및 경제성 확보 방안등은 지속으로 연구 검토하는 것”으로 시장에게 보고를 했다.
오 의원은 “모바일 하버는 컨테이너 박스를 적재한 화물선이 하역을 위해 항구로 입항하는 것이 아니라, 움직이는 부두가 화물선으로 이동해 짐을 받는 방식”이라며 “결국 서울항(여의도)에서 15㎞ 떨어진 김포항까지 모바일 하버가 이동하여 화물을 받은 후 다시 서울항으로 되돌아와 화물을 하역한다는 계획”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문건에 따르면 “한강에는 교량 등 주운여건을 고려한 맞춤형 특수제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되어 있다.
오 의원은 “오세훈 시장이 지난 8월 시정질문 답변을 통해 ‘여의도는 잘 정리된 시민 휴식공간이다. 만약에 화물이 들어오게 되면 엄청나게 경관이나 미관이 훼손되는데 전혀 화물처리를 상정하지 않고 있다. 직을 걸고 막겠다’고 해놓고선, 한쪽에서는 시민들 몰래 화물을 처리할 계획을 세우는 이중적인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오세훈 시장의 즉각적인 공개사과를 요구했다.
한편 서울시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개발 중인 ‘모바일하버’를 한강에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인지에 대해 서울시에 검토 의뢰하여, 서해뱃길사업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나 한강 여건에는 부적합하여, 현재 진행 중인 서해뱃길사업 실시설계에서는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해명했다.
시는 이어 “서해뱃길사업은 화물선 운항이 아닌 관광 및 여객 중심의 관광선 운항을 주목적으로 국제항을 조성하는 것이며, 추후에도 여의도 무역항을 통한 화물 운송계획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또 시는 여의도 무역항 관련, “항만법상 항만이라는 것은 ‘무역항(외항선이 입출하는 항만)’과 ‘연안항(국내항 간을 입출하는 항만)’만으로 규정이 되어 있어 여의도 일대를 국제선 입출항이 가능한 무역항으로 지정하였으나, 추후 화물의 처리계획은 없다”고 거듭 밝혔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오승록 시의원은 23일 한강사업본부 행정사무감사에서 ‘모바일하버 도입방안 검토 보고’라는 서울시 내부 문건을 공개하면서 “서해뱃길 사업은 뱃길이 아닌 운하사업임이 드러났다”며 사업의 전면전인 중단을 촉구했다.
지금까지 서울시는 서해뱃길의 경우 여객관광선만 운항할 계획이며, 화물선 운항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이번 문건을 통해 화물 처리까지 추진한 것으로 드러나 그 파문이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될 전망이다.
오 의원이 이날 공개한 문건에 따르면 지난 2009년 8월 21일 오세훈 시장은 “대형화물선이 김포까지 입항시에 KAIST에서 개발하고 있는 모바일 하버를 이용한 화물 하역시스템을 설계시 검토하여 추진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에 한강사업본부는 5개월간 심도 있는 검토를 거쳐, 2010년 1월 “모바일 하버 도입은 장기과제로 추진하되, 서해뱃길 사업에 물류기능 도입 방안을 검토하고 모바일 하버 개발에 따른 한강 적용성 및 경제성 확보 방안등은 지속으로 연구 검토하는 것”으로 시장에게 보고를 했다.
오 의원은 “모바일 하버는 컨테이너 박스를 적재한 화물선이 하역을 위해 항구로 입항하는 것이 아니라, 움직이는 부두가 화물선으로 이동해 짐을 받는 방식”이라며 “결국 서울항(여의도)에서 15㎞ 떨어진 김포항까지 모바일 하버가 이동하여 화물을 받은 후 다시 서울항으로 되돌아와 화물을 하역한다는 계획”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문건에 따르면 “한강에는 교량 등 주운여건을 고려한 맞춤형 특수제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되어 있다.
오 의원은 “오세훈 시장이 지난 8월 시정질문 답변을 통해 ‘여의도는 잘 정리된 시민 휴식공간이다. 만약에 화물이 들어오게 되면 엄청나게 경관이나 미관이 훼손되는데 전혀 화물처리를 상정하지 않고 있다. 직을 걸고 막겠다’고 해놓고선, 한쪽에서는 시민들 몰래 화물을 처리할 계획을 세우는 이중적인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오세훈 시장의 즉각적인 공개사과를 요구했다.
한편 서울시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개발 중인 ‘모바일하버’를 한강에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인지에 대해 서울시에 검토 의뢰하여, 서해뱃길사업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나 한강 여건에는 부적합하여, 현재 진행 중인 서해뱃길사업 실시설계에서는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해명했다.
시는 이어 “서해뱃길사업은 화물선 운항이 아닌 관광 및 여객 중심의 관광선 운항을 주목적으로 국제항을 조성하는 것이며, 추후에도 여의도 무역항을 통한 화물 운송계획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또 시는 여의도 무역항 관련, “항만법상 항만이라는 것은 ‘무역항(외항선이 입출하는 항만)’과 ‘연안항(국내항 간을 입출하는 항만)’만으로 규정이 되어 있어 여의도 일대를 국제선 입출항이 가능한 무역항으로 지정하였으나, 추후 화물의 처리계획은 없다”고 거듭 밝혔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