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서울시의회 서영갑 의원(민주당, 동작4)은 지난 29일 “서울시의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대책 수립이 시급한 실정"이라며 ‘음식물쓰레기 자원순환시스템 도입’을 제안했다.
서 의원은 이날 오전 시의회 제227회 정례회 시정질문을 통해 “서울시가 지난 4년간 약 6,800억원의 막대한 예산을 투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과 시민들이 겪는 고통 및 경제적 부담을 오히려 가중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서 의원은 “서울시 음식물쓰레기의 대부분을 처리하고 있는 경기도의회에서 서울시로부터 반입되는 음식물에 대한 반입통제를 논의하기 시작하였고, 음식물폐수의 해양투기가 2013년부터 전면적으로 금지되는 만큼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서울시에서 현재 시범사업으로 추진 중인 디스포저보급사업의 경우는 자원순환정책과 배치되는 것”이라며, “편리성이 좋다는 이유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은평뉴타운에 설치운영 중인 진공식 쓰레기 관로수송시스템(자동식 쓰레기 집하시설)의 경우는 원래의 표준시방서와는 달리 생활폐기물과 음식물쓰레기가 동일한 관로로 수송되도록 시공되어 있어 관로의 수명단축이나 유지관리 비용의 대폭적인 증가로 인해 주민들의 민원이 예상된다”며 “이러한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시가 마곡뉴타운에도 이 시설을 도입하는 것은 특정기업에게 특혜를 주고, 부실시공을 방치함으로써 주민들에게는 또 다른 고통을 주는 것”이라고 질책했다.
이어 그는 “음식물 쓰레기공공처리시설의 경우, 현재 가동 중인 강동, 도봉, 서대문 공공처리시설과 건설 중인 동대문, 송파 처리시설 이외에 새롭게 자치구에서 추진하고 있는 은평, 강남의 경우 가동률이 저조할 것으로 예측됨에도 이를 추진하는 것은 예산낭비”라고 비난했다.
따라서 서 의원은 각 가정에서 발생한 음식물쓰레기 중 물은 배수구로 배출시키고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만을 수거하는 ‘음식물쓰레기 자원순환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서 의원은 이날 오전 시의회 제227회 정례회 시정질문을 통해 “서울시가 지난 4년간 약 6,800억원의 막대한 예산을 투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과 시민들이 겪는 고통 및 경제적 부담을 오히려 가중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서 의원은 “서울시 음식물쓰레기의 대부분을 처리하고 있는 경기도의회에서 서울시로부터 반입되는 음식물에 대한 반입통제를 논의하기 시작하였고, 음식물폐수의 해양투기가 2013년부터 전면적으로 금지되는 만큼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서울시에서 현재 시범사업으로 추진 중인 디스포저보급사업의 경우는 자원순환정책과 배치되는 것”이라며, “편리성이 좋다는 이유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은평뉴타운에 설치운영 중인 진공식 쓰레기 관로수송시스템(자동식 쓰레기 집하시설)의 경우는 원래의 표준시방서와는 달리 생활폐기물과 음식물쓰레기가 동일한 관로로 수송되도록 시공되어 있어 관로의 수명단축이나 유지관리 비용의 대폭적인 증가로 인해 주민들의 민원이 예상된다”며 “이러한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시가 마곡뉴타운에도 이 시설을 도입하는 것은 특정기업에게 특혜를 주고, 부실시공을 방치함으로써 주민들에게는 또 다른 고통을 주는 것”이라고 질책했다.
이어 그는 “음식물 쓰레기공공처리시설의 경우, 현재 가동 중인 강동, 도봉, 서대문 공공처리시설과 건설 중인 동대문, 송파 처리시설 이외에 새롭게 자치구에서 추진하고 있는 은평, 강남의 경우 가동률이 저조할 것으로 예측됨에도 이를 추진하는 것은 예산낭비”라고 비난했다.
따라서 서 의원은 각 가정에서 발생한 음식물쓰레기 중 물은 배수구로 배출시키고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만을 수거하는 ‘음식물쓰레기 자원순환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