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청와대는 2일 원세훈 국정원장의 북한 도발 징후 포착 및 청와대 보고 발언에 대해 유감을 표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청와대에서 기자들과 만나 "정보 책임자가 대통령에게 보고를 했는지, 하지 않았는지, 보고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지금 상황이 엄중한 시기인 만큼 사안 하나 하나가 국가안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이 크다. 국정원장이 하신 말씀이 국회에서 공개돼 논란이 일어나는 부분에 대해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국회 정보위는 비공개 회의에서 주요 정보사안에 대해 대외적으로 노출하지 않도록 돼 있는데 국민의 알권리 차원에서 원 국정원장의 발언과 보고 등을 공개한 것은 잘못이라는 지적이다.
이 관계자는 "정보당국이 입법기관에 대해 이해를 돕기 위해 국가 군사기밀 등을 설명하는 경우가 있지만 정보당국자와 국회 상임위원장, 여야 간사가 합의해야 공개한다는 것이 항상 전제로 깔려있다. 하지만 이번에는 이런 부분이 지켜지지 않은 것 같아 유감"이라고 말했다.
또 "엄중한 시기에 국정원 관련 보고 문제를 비롯해 무기 이동 사항이 그대로 노출되는 등 (정보사항이) 유리알처럼 공개되는 것도 우려한다"고 말했다.
한편 원세훈 국정원장은 전날 국회 정보위에서 지난 8월 감청을 통해 북한의 서해 5도 공격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이를 청와대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민장홍 기자 mjh@siminilbo.co.kr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청와대에서 기자들과 만나 "정보 책임자가 대통령에게 보고를 했는지, 하지 않았는지, 보고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지금 상황이 엄중한 시기인 만큼 사안 하나 하나가 국가안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이 크다. 국정원장이 하신 말씀이 국회에서 공개돼 논란이 일어나는 부분에 대해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국회 정보위는 비공개 회의에서 주요 정보사안에 대해 대외적으로 노출하지 않도록 돼 있는데 국민의 알권리 차원에서 원 국정원장의 발언과 보고 등을 공개한 것은 잘못이라는 지적이다.
이 관계자는 "정보당국이 입법기관에 대해 이해를 돕기 위해 국가 군사기밀 등을 설명하는 경우가 있지만 정보당국자와 국회 상임위원장, 여야 간사가 합의해야 공개한다는 것이 항상 전제로 깔려있다. 하지만 이번에는 이런 부분이 지켜지지 않은 것 같아 유감"이라고 말했다.
또 "엄중한 시기에 국정원 관련 보고 문제를 비롯해 무기 이동 사항이 그대로 노출되는 등 (정보사항이) 유리알처럼 공개되는 것도 우려한다"고 말했다.
한편 원세훈 국정원장은 전날 국회 정보위에서 지난 8월 감청을 통해 북한의 서해 5도 공격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이를 청와대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민장홍 기자 mjh@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