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당정청 회동때 당 지도부에 ‘의총 기간’ 입김?
[시민일보] 한나라당이 25일로 예정됐던 ‘개헌 의총’을 설 이후로 연기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나라당은 24일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최고위원회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배은희 대변인은 “구제역이 아직도 창궐하고 있고 많은 국회의원들이 해외에 출장을 나가 의정활동을 하고 있다”며 “의정활동을 지원하는 차원에서 설이 지나고 2월 8, 9, 10일 사흘간 오후 2시 개헌의총을 열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한 핵심 당직자는 “25일 의총을 열기 위해 참석 가능한 인원을 모아보니 80~90명밖에 안돼 불가피하게 연기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한나라당의 이같은 해명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에는 뭔가 석연치 않다.
실제 앞서 전날 이명박 대통령의 초청으로 이뤄진 당정청 회동에서, 이 대통령이 확고한 개헌의지를 당 지도부에 전달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25일 단 하루만 예정됐던 의총을 사흘로 대폭 늘려 잡은 점에서 이 대통령 입김설이 상당한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실제 배은희 대변인은 의총기간 연장 배경에 대해 “안상수 대표와 김무성 원내대표가 ‘당론을 결정하려면 하루로는 안 된다’고 말했다”고 밝히고 있다.
안 대표와 김 원내대표의 이같은 발언은 ‘개헌 의총’에서 단지 개헌 문제를 논의하는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분권형 개헌’이라는 강제당론을 채택하려는 의지가 담겨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강제 당론 채택 과정의 일환으로 ‘사흘 의총’에서 개헌특위를 구성하려 들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당내 친박계와 친이 소장파 의원들의 반발로 이같은 계획이 개헌론자들의 뜻대로 이루어질지는 미지수다.
실제 친박계 6선의 홍사덕 의원은 이미 “다투는 모습을 보이고 싶지 않다”며 ‘개헌 의총’에 대한 불참 의사를 밝혔고, 앞서 당내 소장파 의원 모임인 ‘민본21’도 개헌의총을 반대한 바 있다.
한편 이재오 장관은 이날 오후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리는 사단법인 푸른한국의 토론회에 나가 개헌의 당위성을 역설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