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차기대선 지지율, 박근혜 ‘38.2%’ 독주… 김문수·오세훈 하향세

    정치 / 진용준 / 2011-01-02 18:12:00
    • 카카오톡 보내기
    박근혜, 싱크탱크 출범하며 발빠른 대권행보
    김문수 ‘뒷걸음질’… 오세훈 ‘무상급식 역풍’
    親李계 ‘朴 때리기’ 세 결집… 효과는 미지수
    [시민일보] 2011년 신묘년을 맞아 여야 대권주자들의 발걸음이 점차 빨라지고 있다. 일단 여권에서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일방독주 속에 김문수 오세훈 정몽준 이재오 등 이른바 ‘박근혜 대항마’를 노리는 후보들이 집중 견제가 이뤄지고 있다. 야권에서는 손학규 민주당 대표와 유시민 국민참여당 참여정책연구원장이 치열하게 선두다툼을 벌이고 있다.
    각종 여론조사 결과가 말해주듯이 여권내에서 박근혜 전 대표의 일방독주가 이뤄지고 있다.
    가장 발 빠른 대선행보를 보이는 인사 역시 박 전 대표다.
    지난 2007년 17대 대선 당시 대선행보를 뒤늦게 시작했다가 한발 앞서 대권행보에 나섰던 이명박 대통령에게 패배했던 박 전 대표는 같은 실수를 되풀이 하지 않겠다는듯 구랍 12월20일 성장과 복지의 선순환을 골자로 하는 복지정책을 발표해 복지이슈를 선점한 데 이어, 불과 일주일 후인 27일에는 자신의 싱크탱크인 ‘국가미래연구원’을 발족시켰다.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의 지난 27일 정례여론조사 결과 최근 복지담론 제시와 국가미래연구원 발기인 대회 등을 통해 여론의 주목을 받고 있는 박근혜 전 대표가 ‘차기 대권주자 적합 인물’을 묻는 질문에 38.2%의 최다 응답을 얻었다.
    이어 손학규 대표 11.6%, 김문수 경기도지사 7.2%, 유시민 참여정책연구원장 5.9%, 오세훈 시장 5.5%, 이회창 자유선진당 대표 4.0%, 한명숙 전 국무총리 3.4%, 정몽준 한나라당 전 대표 3.3% 등의 순이었다. ‘잘 모름’ 응답은 21.0%였다.
    박근혜 전 대표는 10월 33.0%, 11월 35.9%, 12월 38.2%로 지지도가 꾸준하게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이번 조사는 구랍 12월27일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50명을 대상으로 ARS전화설문으로 조사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2%p이다.
    이런 추세라면 40%대도 무난히 돌파할 것이라는 관측마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박근혜 대항마’를 노리는 김문수 지사와 오세훈 시장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실제 손학규 민주당 대표와 지지율이 겹치는 김문수 지사는 10월 9.3%, 11월 8.3%, 12월 7.2%로 하강 곡선을 보였다. 오세훈 시장 역시 10월 7.5%, 11월 7.7%를 유지하다가 무상급식 논란의 핵심으로 떠오르며 12월에는 5.5%로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위기의식을 느낀 친이계 인사들이 세 결집에 나섰다.
    김문수 지사를 비롯해 이재오 특임장관, 정두언 최고위원, 안상수 대표 등 친이계 인사 30여명이 구랍 29일 서울 여의도의 한 호텔에서 송년모임을 갖고 정권 재창출을 다짐한 것도 박근혜 견제의 일환이다.
    특히 친이계 대권주자들은 일제히 박 전 대표를 향해 포문을 열고 나서는 등 노골적인 ‘朴치기’에 나섰다.
    국제축구연맹(FIFA) 부회장 선거운동 등으로 주로 해외에 머물렀던 정몽준 전 대표는 30일 오전 동남아 방문을 마치고 귀국하자마자 여의도로 직행했다.
    그리고는 당 출입기자들과의 송년 오찬에서 박 전 대표가 ‘복지 이슈’를 꺼내든 것에 대해 “복지도 중요하지만 다른 분야도 모두 중요하다. 정치인은 균형 감각이 있어야 한다”고 에둘러 비판했다.
    특히 그는 자신의 홈페이지 올린 글에서는 “‘한국형 복지’ 등 온갖 미사여구를 붙인 복지 구상이 난무하고 있는데 세상에 공짜는 없다. 포퓰리즘은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김 지사도 전날 “차기 대권 이야기가 조기 과열될 경우 국가적 리더십에 혼란이 생길 수 있다”며 박 전 대표의 조기대권행보를 비판했고 이 장관 역시 “집권당 안에 뭐 또 다른 것이 있어 정부가 당이 잘못하면 책임을 더 지고 덜 지는 것이 아니다”고 ‘친박’계를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오세훈 시장도 박 전 대표의 복지 구상에 대해 “세대·계층·민관간의 동의가 없는 복지정책을 남발하는 것은 ‘퍼주기’식 포퓰리즘”이라는 견해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친이계 후보들이 일제히 박근혜 견제 목소리를 내는 것은 친이 의원들의 ‘월박’(越朴:친박계에 합류하는 것)을 우려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대선전이 본격화되면 뚜렷한 구심점이 없는 친이계의 이탈과 분열이 가속화될 수밖에 없고, 이미 ‘이상득(SD)계와 이재오·정두언계’로 분화돼 있는 친이계의 재분화가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친이계가 세결집을 서두르고 있지만, 박 전 대표의 일방독주가 계속되는 한 월박현상을 막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진용준 진용준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