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 ‘카라’ 사태의 배후가 드러났다.
음반 제작자들의 모임인 한국연예제작자협회(회장 안정대)는 25일 “카라의 전속계약 해지 통보 사태와 관련 있는 배후세력의 명단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그 동안 배후 세력으로 지목된 사람 중 1명인 모 매니지먼트사 대표 J가 카라 멤버에게 보낸 문자메시지 내용도 공개했다. “일 잘하는 매니저들이랑 차량 다 준비됐다”며 “급한 일, 필요한 일 있을 때는 언제든지 콜”이라는 내용이다.
또 “O팀장이 소송 전반일과 기획마케팅/ 내부살림, O이사와 O실장이 활동 전반을 책임질 것”이라며 “실업무를 볼 현장매니저는 기존 세 사람 외에 추가로 유경험자 두 사람 더 충원할 계획”이라는 내용도 포함됐다.
연제협은 “카라의 소속사인 DSP미디어는 이번 사태의 원만한 해결을 위해 본 협회에 중재를 요청한 상태”라며 “이번 사태가 신한류 시장에 적잖은 파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따라서 “최근 카라의 사태와 관련해 일본 현지 파트너사인 유니버설 뮤직에 분배요율에 해당하는 일본의 가창실연료 현황을 요청했다”며 “25일 그 결과를 통보 받았다”고 알렸다.
연제협이 확인한 결과, DSP가 카라에게 지급하고 있는 분배요율은 1.6~1.8%다. 일본의 통상적인 신인 가창실연료 0.5~1%보다 많이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는 설명이다.
연제협은 “최근 정체성 모호한 곳에서 경거망동한 발언 등이 산업의 혼란만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 곳에서 카라의 일부 멤버와 그들의 부모 입장까지도 대변하고 나서고 있다”며 “이번 사태의 정황들을 속속들이 파악하고 있다는 점에서 어쩌면 그들 또한 이번 카라 사태와 직간접적으로 관계된 것은 아닌지 의구심을 들게 만든다”고 전했다.
“카라와 소속사인 DSP가 모두 피해자라고 생각한다”며 “카라와 소속사의 분열이 국가와 문화산업에 큰 손실이라 생각하고, 협회는 이 문제에 적극 참여해 해결할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앞으로 소속사와 전속계약중인 연예인을 불순한 목적으로 교섭하거나 유혹, 산업을 혼란에 빠지게 만드는 자들은 민형사상의 법적 대응은 물론 연예산업계에서의 퇴출 등 강경하게 조치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제협의 발표로 소문으로만 떠돌던 배후세력의 존재가 수면 위로 급부상했다. 사태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한편, 이날 매니지먼트사 DSP미디어에게 전속계약 해지를 통보한 한승연(23), 정니콜(20), 강지영(17)과 DSP의 만남은 소득 없이 끝났다.
DSP는 한승연 등 3인과 원만한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협의안과 요구사항을 전달받아 대화 중이라는 것이다. 자세한 내용을 밝힐 수는 없으나 카라는 멤버 5명이 함께해야 한다는 믿음에는 변화가 없다고 한다.
한승연 등 3명은 DSP 복귀 조건으로 경영진 교체, 계약기간 단축 등을 앞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양측 모두 이에 대한 언급은 피하고 있다.
한승연 등 카라 멤버 3명은 19일 법무법인 랜드마크를 통해 자신들을 돈벌이 수단으로만 악용했다면서 DSP에게 전속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뉴시스
음반 제작자들의 모임인 한국연예제작자협회(회장 안정대)는 25일 “카라의 전속계약 해지 통보 사태와 관련 있는 배후세력의 명단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그 동안 배후 세력으로 지목된 사람 중 1명인 모 매니지먼트사 대표 J가 카라 멤버에게 보낸 문자메시지 내용도 공개했다. “일 잘하는 매니저들이랑 차량 다 준비됐다”며 “급한 일, 필요한 일 있을 때는 언제든지 콜”이라는 내용이다.
또 “O팀장이 소송 전반일과 기획마케팅/ 내부살림, O이사와 O실장이 활동 전반을 책임질 것”이라며 “실업무를 볼 현장매니저는 기존 세 사람 외에 추가로 유경험자 두 사람 더 충원할 계획”이라는 내용도 포함됐다.
연제협은 “카라의 소속사인 DSP미디어는 이번 사태의 원만한 해결을 위해 본 협회에 중재를 요청한 상태”라며 “이번 사태가 신한류 시장에 적잖은 파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따라서 “최근 카라의 사태와 관련해 일본 현지 파트너사인 유니버설 뮤직에 분배요율에 해당하는 일본의 가창실연료 현황을 요청했다”며 “25일 그 결과를 통보 받았다”고 알렸다.
연제협이 확인한 결과, DSP가 카라에게 지급하고 있는 분배요율은 1.6~1.8%다. 일본의 통상적인 신인 가창실연료 0.5~1%보다 많이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는 설명이다.
연제협은 “최근 정체성 모호한 곳에서 경거망동한 발언 등이 산업의 혼란만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 곳에서 카라의 일부 멤버와 그들의 부모 입장까지도 대변하고 나서고 있다”며 “이번 사태의 정황들을 속속들이 파악하고 있다는 점에서 어쩌면 그들 또한 이번 카라 사태와 직간접적으로 관계된 것은 아닌지 의구심을 들게 만든다”고 전했다.
“카라와 소속사인 DSP가 모두 피해자라고 생각한다”며 “카라와 소속사의 분열이 국가와 문화산업에 큰 손실이라 생각하고, 협회는 이 문제에 적극 참여해 해결할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앞으로 소속사와 전속계약중인 연예인을 불순한 목적으로 교섭하거나 유혹, 산업을 혼란에 빠지게 만드는 자들은 민형사상의 법적 대응은 물론 연예산업계에서의 퇴출 등 강경하게 조치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제협의 발표로 소문으로만 떠돌던 배후세력의 존재가 수면 위로 급부상했다. 사태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한편, 이날 매니지먼트사 DSP미디어에게 전속계약 해지를 통보한 한승연(23), 정니콜(20), 강지영(17)과 DSP의 만남은 소득 없이 끝났다.
DSP는 한승연 등 3인과 원만한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협의안과 요구사항을 전달받아 대화 중이라는 것이다. 자세한 내용을 밝힐 수는 없으나 카라는 멤버 5명이 함께해야 한다는 믿음에는 변화가 없다고 한다.
한승연 등 3명은 DSP 복귀 조건으로 경영진 교체, 계약기간 단축 등을 앞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양측 모두 이에 대한 언급은 피하고 있다.
한승연 등 카라 멤버 3명은 19일 법무법인 랜드마크를 통해 자신들을 돈벌이 수단으로만 악용했다면서 DSP에게 전속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뉴시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