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서울의료원이 중랑구 신내동으로 신축 이전되지만 현재의 장례식장은 계속 운영된다.
또한 병원 진료도 이용객이 많은 내과, 정형외과, 신경과 등 3개 진료과목을 별도 개설하여 30병상 규모의 분원형태로 운영한다.
서울시의회 김현기 의원(강남 4, 한나라당)은 7일 “이달 말 서울의료원이 강북으로 신축․이전됨에 따라, 국립중앙의료원(구 국립의료원)이 서초구 원지동에 건립될 때까지 서울 동남권 지역 저소득 시민들에게 최소한의 공공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저렴하고 편리한 장례식장을 지속적으로 서민계층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시적 운영 계획을 서울시가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김 의원은 지난 2007년 서울시가 강남북 균형발전이란 명분으로 공립의료시설인 서울의료원의 강북이전 계획을 전격 발표한 이후, 강남, 송파, 강동, 서초구 등 동남권 지역의 십수만명의 저소득계층에 대한 공공의료시설 이용권리 박탈과 장례식장 접근기회 상실에 따른 역차별 문제 등을 강력히 제기해 왔다.
이에 따라 서울시가 그 심각성과 타당성을 정책에 반영해 이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김현기 의원은 서울시장에게 2007년 이후 무려 6차례의 시정 질문을 통해, 이전결정 과정에 반드시 필요한 타당성 조사 절차가 완전히 누락되고, 주민 의견수렴이 전혀 실시되지 않는 등 졸속 정책결정의 모순과 문제점을 끊임없이 제기해 왔다.
현재 서울 동남권 지역은 강남구의 임대아파트 약 1만 가구를 포함 약 2만여 정도의 임대주택이 공급되어 있고, 향후 위례 신도시와 세곡, 내곡동에 2014년 까지 약 25,000 가구 이상의 국민임대주택과 보금자리주택이 건립될 계획이어서, 저소득계층을 위한 공공의료시설과 장례식장이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상황이다.
2009년 기준, 서울의료원의 일반환자 73,954명 중 56%인 41,224명, 의료급여환자 8,684명 중 59%인 5,076명, 합계 82,638명 중 56%인 46,300명이 동남권 주민으로 전체 이용환자 절반 이상이 동남권 4개구 거주 시민이다.
외래진료의 경우, 외래환자 324,493명 중 내과, 정형외과, 신경과 등 3개과에서 141,624명이 진료를 받았으며, 이는 전체 24개 진료과목의 43.6%를 차지하고 있다.
평균진료비용은, 서울의료원이 286,793원으로 민간병원 501,036원에 비해 57%로서 절반에 가까운 매우 저렴한 수준으로 서민의 이용 빈도가 매우 높다.
한편, 장례식장의 경우, 2009년 이용인원 1,306명 중 동남권 주민이 43.8%인 631명이며, 의료수급권자는 23%인 146명을 차지하며, 시설이용료는 민간병원(삼성의료원, 강남세브란스)에 비해 53~68% 수준으로 대단히 저렴한 실정이다.
서울의료원 분원은, 현재의 본관 우측 별관건물을 개보수 하여 의사 9명, 간호사 15명 등 총 37명으로 운영하고, 장례식장은 현 시설을 그대로 직영하며, 운영에 따른 예상 수익과 비용은 연간 각각 32억원과 38억원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