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7 이후 야당에 개헌특위구성 요구”

    정당/국회 / 관리자 / 2011-04-21 11:38:00
    • 카카오톡 보내기
    이재오 특임장관, ‘분권형 개헌론’ 재점화

    [시민일보] 이른바 ‘개헌 전도사’로 불리는 이재오 특임장관이 21일 “(4.27재보궐) 선거가 끝나면 야당에게도 개헌특위 구성할 것을 요구하고, 일반 시민사회단체에게도 개헌의 필요성을 이야기하고, 아무래도 해야 되지 않겠느냐”고 ‘개헌론’에 불을 지폈다.

    이 장관은 이날 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한나라당 내에서 개헌특위가 준비를 많이 했다. 지금은 그동안의 개헌 시안을 모아서 축조심의에 들어간 걸로 알고 있다. 그러면 한나라당 개헌특위에서도 시안이 거의 마련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그는 “금년 말까지는 개헌할 수 있는 기간으로 이야기했기 때문에 연말까지 노력해봐야 안 되겠느냐”고 강조했다.

    앞서 이장관은 최근 아산 선문대학에서 열린 국민공감대회 특강에서도 개헌 문제를 언급했는가하면, 트위터를 통해서는 개헌 시기를 언급하면서 분권형 대통령제 도입을 계속 강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 장관은 “특임실에서는 여러 전문가들이 그동안에 연구한 것을 모아서 단일안들로 정리를 하고 있는데, 그 단일안들 중에 권력을 분산하는 것과 지방과 분권 관계를 확실히 하는 것, 이런 여러 가지 내용이 시안에 담겨질 것”이라며 ‘권력분산형 개헌안’을 마련하고 있음을 분명히 했다.

    이 장관은 “선거 이후가 되면 여야 간에 개헌에 대해서도 논의를 진전시켜야 될 것”이라며 “자연적으로 의원들이 모이면 활발해지지 않겠느냐”고 낙관적으로 전망했다.

    이 장관은 지난 13일 친이계 의원 30여명과 북한산 등산을 하고, 전날 저녁에도 식사를 함께 하는 등 최근 친이계 의원들과 자주 만나고 있다.

    이에 대해 당내 일각에서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과 관련, 이 장관은 “정치권에서는 의원들이 모이면 항상 말이 따르기 마련인데, 우리 정치권의 오랜 병폐가 의원들이 모이거나 이야기를 한다고 하면 그거를 순수하게 안 받아들이는 측면이 있다. 이것이 우리 정치권의 오래된 부패적 사고”라고 반박했다.

    이어 그는 “어느 정당이고 주류와 비주류가 있기 마련이고, 노선에 따라서 의원들의 성향이 달라지기 마련인데, 그런 의원들이 자주 모여서 국정에 대해서 토론하고 이야기 나누는 것이 정상”이라며 “그걸 아주 색안경을 끼고 보니까 사람들이 그렇게 안 하는데, 사실 주류가 자주 모여서 의견을 나누고 해야 하는데 더군다나 이번엔 4.27 재보궐 선거가 지금 박빙이지 않느냐. 그야말로 낙관도 비관도 할 수 없는 그런 상황이니까 그럴수록 자주 모여서 선거의 지원에 관해서도 논하고, 의원들이 그냥 팔짱만 끼고 있지 말고 적극적으로 도와야 되지 않느냐. 이런 이야기를 나누는 게 정상 아니겠느냐. 그걸 이상하게 보는 사람들이 좀 이상하다”고 역공을 취했다.

    특히 그는 “국정을 잘 마무리하고 정부, 여당과 함께 또 이명박 대통령이 성공할 수 있도록 정책에 힘을 실으려면 앞으로 자주 모여야 되지 않겠느냐”며 앞으로 친이계 모임을 더 자주 갖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리자 관리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