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서울시의회 교통위원회(위원장 최웅식)가 지난 22일 도시철도공사에 대해 협력적인 노사관계 구축을 주문했다.
이날 최웅식 위원장(민주당, 영등포1)은 “도시철도공사 사장이 새로이 취임한 만큼 협력적인 노사관계 구축을 통해서 도시철도공사가 서울시민들에게 최상의 교통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수도 서울을 대표하는 공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박준희 의원은(민주당, 관악1) 도시철도공사가 막대한 부채를 안고 있는 상황에서 <노인복지법>등에서 정한 노인 등의 무임수송에 따른 운영적자가 공사의 경영여건을 악화시키고 있음을 지적하고, “관련 법령에서 정한 노인,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등의 무임수송에 따른 적자에 대해서 중앙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관련 부처에 적극 건의함으로써 공사의 경영여건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주문했다.
전철수(민주당, 동대문1) 의원은 “최근 도시철도공사가 다양한 인프라 구축 및 시설 개선을 통한 시민서비스 증진으로 인해 지하철 이용객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나 문화시설 및 시민편의시설이 부족하다”면서 “역사 여유공간에 다양한 공연?전시가 이루어질 수 있는 문화공간 및 지역주민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도서관, 어린이 놀이터 등의 시민 휴식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행자(민주당, 관악3) 의원은 “도시철도공사가 대시민 서비스 증진차원에서 심야시간대에 대해서도 전동차를 연장 운행하고 있으나 도시철도공사가 상당한 부채를 안고 있고, 매년 막대한 운영적자를 보고 있는 상황에서 이용승객이 적은 심야시간대까지 전동차를 연장운행하는 것에 대해서는 시민 여론조사 및 관련 비용산정 등의 면밀히 검토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상묵(한나라당, 성동2) 의원은 “도시철도공사가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등의 승객이동편의시설을 지속적으로 설치해오고 있으나 최근 승객이동편의시설에서 노인 등의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이용시민의 안전사고 발생시 편의시설의 작동을 즉각 중지시킬 수 있는 ‘비상벨’ 설치를 통해서 노인 및 장애인 등을 포함한 교통약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라”고 촉구했다.
성백열(한나라당, 강남3) 의원은 “최근 어려운 경제사정으로 인해 지하철 이용요금을 내지 않고 지하철을 탑승하는 불법 부정승차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면서 “도시철도공사는 매년 막대한 운영적자를 보고 있는 만큼 불법 부정승차자에 대한 철저한 단속을 통해 공사의 경영개선을 도모하고, 건전한 지하철 이용환경을 조성하라”고 요구했다.
박기열(민주당, 동작3) 의원은 “도시철도공사가 시민들의 지하철 이용환경 개선을 위해 교통약자의 이동권 확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를 전역사에 최소 1기 이상씩 설치하고 있으나 시설 설치과정에서 지역 주민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아서 관련 민원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면서 “시설 설치를 위한 계획단계에서 부터 지역주민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종철(민주당, 광진2) 의원은 “최근 일본의 지진피해와 관련하여 우리나라도 더 이상 대형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다”라면서 “대형사고에 대한 근거없는 불안심리는 제거해야 하나 지하철은 수많은 시민이 지하터널을 이용해야 하는 시설인만큼 지진 등의 자연재해를 대비한 지하철 안전대책 마련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정훈(민주당, 강동1) 의원은 도시철도공사가 그 동안 각종 부대사업과 조직개편 과정에서 노사가 극한적으로 대립하였던 점을 지적하면서 “최근 사장이 새로 취임한 만큼 노사의 협력적 동반자 관계 구축이 지하철 이용시민의 편의증진과 직결됨을 인식하여 상생의 노사문화를 구축을 통해 시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어 그는 “시의회 업무보고시 노조위원장 등이 참석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해 줄 것”을 요구했다.
정희석(민주당, 은평4) 의원은 “도시철도공사 적자경영의 주요원인이 방만한 경영과 과도한 잉여인력 등에 기인하고 있다”며 “향후에는 공기업의 경영이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극적 신기술 개발 및 자회사 설립 등을 통해 조직 슬림화와 함께 공사의 경영개선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