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헌 개정파-반대파, 힘겨루기 본격화

    정당/국회 / 관리자 / 2011-05-20 12:50:00
    • 카카오톡 보내기
    ‘새로운 한나라’ 친이계 이탈표 여부가 관건

    [시민일보] 한나라당이 `당권ㆍ대권 분리규정 개정' 문제를 놓고 일대 격랑에 휩싸일 전망이다.

    특히 오는 30일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당권ㆍ대권 분리를 완화하는 당헌 개정안이 표결에 부쳐질 가능성이 제기됨에 따라 당헌 개정파와 반대파의 힘겨루기가 불가피하게 됐다.

    일단 현재 상황으로 볼 때 당헌 개정안이 비대위 표결에 부쳐질 경우, 현행 유지 가능성이 높은 것로 보인다다. 현재 당권ㆍ대권 분리를 완화하자는 쪽은 정몽준 전 대표를 비롯, 이재오계 등 범친이계가 적극적인 반면 친박계와 소장파는 그대로 둬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소장파 모임인 ‘새로운 한나라’에서는 당헌개정 반대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힌 상태다.

    그래서 지난 6일 원내대표 경선 당시 친박계와 소장파 연합세력이 황우여 원내대표를 당선 시켰듯이 같은 결과가 나타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또한 비대위원 19명 가운데 범친이계가 9명이지만 친박계 4명과 소장파 6명을 합치면 친이계 보다 한명이 더 많다.

    비대위 내에서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비대위는 재적 비대위원 과반의 의견을 따를 것이라고 밝힌 만큼, 현재의 판세가 그대로 간다면 10대9 부결이 예상된다.

    하지만 정의화 비대위원장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박 전 대표가) 대표ㆍ최고위원 분리선출도 `개혁 후퇴'로 규정한 것은 동의할 수 없다"며 "비대위를 무력화하는 발언"이라고 강력히 반발하는 등 친이계의 반격도 만만치 않다.

    더구나 여권 잠룡인 정몽준 전 대표와 김문수 경기도지사 등 범친이(친이명박)계가 강력반발하고 있는 마당이다.

    특히 비대위원들 가운데 새로운 한나라 소속의 친이계 비대위원 가운데 이탈표가 나올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따라서 현재 상황으로는 어느 한 쪽도 확실한 우세를 장담할 수 없는 상태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리자 관리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