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한나라당 신지호 의원이 전당대회 룰과 관련, 당권ㆍ대권을 분리하는 현행 당헌 당규를 유지키로 결정한 것에 대해 “새로운 대표에 힘이 실리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 의원은 31일 오전 YTN라디오 ‘강지원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하며 “대권주자라고 하는 분들은 별도로 존재하는데 오히려 그 쪽으로 권력이 기울지 않겠는가”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른바 박근혜 전 대표를 비롯해 대권 주자로 거론되는 분들이 당이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한 만큼 당의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었는데 결국 박 전 대표의 거부로 기존 방식대로 전당대회를 치르게 됐다”며 “실세들이 당의 전면에 등장해서 당을 책임지고 이끌어야지만 현재같이 어려운 한나라당을 제대로 구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문제의식에서 제안하고 주장했는데 결국 실패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당의 결정이 박근혜 전 대표의 의견이 관철됐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동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8차례 걸친 장시간에 열띤 토론을 펼쳤는데, 결국 박근혜 전 대표가 황우여 원내대표와의 회동에서 제시한 이른바 가이드라인에서, 친박계 의원님들이 가이드라인에서 벗어나지 못하다 보니 토론을 통해 서로 차이를 좁히고 입장을 이해하면서 가까워지는 것들이 불가능했다. 그래서 결국 그렇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전날 주장했던 ‘강제적 계파 해체’와 관련, “한나라당은 여전히 계파의 강고한 벽에 갇혀있다는 것이 다시 한 번 입증됐기 때문에 계파를 해체하지 않고는 한나라당의 쇄신을 이야기할 수 없을 것”이라며 “비대위에서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이 바로 계파해체를 하는 건데 단순히 해체하라고 말로만 권고하는 수준으로는 고질적인 계파 활동이 종료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강제력을 갖고 이것을 실시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