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민주당, ‘정파등록제’-‘선도통합론’ 등 제각각
[시민일보]이해찬 전 국무총리, 노무현재단 문재인 이사장, 서울대 백낙청 명예교수, 함세웅 신부 등 시민사회 원로들이 26일 한 자리에 모여 '야권통합 원탁회의'를 개최했다.
이들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린 "희망2013, 승리2012 원탁회의"에서 내년 4월 총선과 12월 대선을 앞두고 야권 통합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섰지만 대통합 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너무 많다.
실제 당 안팎에서 야권통합 방법에 대해 서로 다른 의견이 나오는가하면, 진보진영에서는 통합 대상을 놓고 갈등을 빚기도 한다.
민주당 야권통합특별위원회 위원장인 이인영 최고위원은 야권 대통합을 위해 '정파등록제'를 제안했다.
정파등록제란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국민참여당 등 야권의 정당들을 하나의 정당으로 통합하되, 그 통합 정당 안에 노선에 따라 여러 가지의 정파를 등록한다는 개념이다.
하지만 이 같은 민주당의 구상에 대해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등의 반응은 매우 부정적이다.
실제 민노당과 진보신당은 민주당의 주도의 통합 방식에 선을 긋고, 먼저 양당이 통합하고 난 후 대통합 논의 참석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그런데 민노당과 진보신당의 통합논의마저 쉽지 않아 보인다.
양당은 오는 9월 목표로 통합 추진에 가속도를 내고 있지만 국민참여당의 통합참여를 둘러싼 양당간 갈등이 확산되고 있다.
앞서 진보신당은 최근 참여당의 진보정당 통합참여에 공식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진보신당 '새로운 진보정당 건설 수임기관'은 "참여당을 새로운 진보정당의 참여 대상으로 포함시키자는 주장은 진보대통합의 근본정신을 훼손하는 것으로 진보대통합 자체를 좌초시키는 중대 변수가 될 수 있음을 분명히 한다"는 내용의 안건을 채택했다.
이에 따라 민노당은 "참여당의 통합 문제는 진보신당과의 통합 문제를 끝낸 뒤 결정할 것"이라며 일단 참여당과의 통합에 거리를 두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진보신당 측은 이 같은 민노당의 결정에도 “민노당 내 참여당과의 통합 의도가 엄연히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유감스럽고 당황스럽다”고 불만을 표출했다.
이런 가운데 참여당은 "새로운 진보정당 건설이라는 시대적 대의 및 국민적 여망을 받들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다할 것"이라며 통합 참여의사를 재확인했다.
이에 따라 민노당과 진보신당이 조만간 '새로운 통합진보정당 추진위원회(새통추)'를 가동하고 양당 간 통합에 있어 당명·당헌·강령 논의 등 실무적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지만 참여당과의 통합을 희망하는 민노당과 "참여당의 통합 참여는 어떠한 경우에도 안 된다"고 못박고 나선 진보신당 간의 갈등으로 양당 통합이 쉽지 않아 보인다.
결국 이인영 최고위원의 ‘정파등록제’ 방식의 야권대통합은 이뤄지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그래서 나온 것이 정세균 민주당 최고위원의 ‘선도통합론’이다.
정 최고위원은 “9월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의 통합을 기다리고 있을 수만은 없다”며 “민주당과 친노세력, 부산·경남 민주연대, 시민사회가 선도통합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해 전당대회 이후 10개월이 지났지만, 야권통합이라는 말만 무성하고 노력과 성과는 없었다”며 “내년 총선에서 판을 흔들어야 정권교체가 가능한데 민주당이 얼마나 제대로 준비하고 있는지 걱정이다. 선도통합으로 야권대통합을 견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12월로 예정된 전당대회는 선도통합을 바탕으로 통합 전대가 돼야 한다”며 “민주당만의 전대로 치르면 통합은 물 건너간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 같은 정 최고위원의 주장에 대한 민주당내 반응은 시큰둥하다.
가장 현실적이긴 하지만, 나무 소극적 통합방식이라는 것.
실제 당 야권통합특위 위원장인 이인영 최고위원은 전날 한 언론과의 통화에서 "차선으로 바로 가는 것은 분열 상태의 고착을 기정사실화하는 소극적 태도"라며 "능동적 자세로 `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국민참여당 유시민 대표에 대한 반감이 민주당내에 엄존하고 있는 상황이라는 점도 야권 통합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야권 대통합이 이뤄질 가능성은 매우 희박해 보인다.
다만 ‘반 MB’ 정서에 따라 4월 총선에서는 한시적으로 야권 연대가 이루어 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