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정부의 수도권 신도시 개발로 서울로의 출ㆍ퇴근 인구가 폭증했음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대중교통의 공급이 부족해 혼잡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소속 민주당 이찬열(경기 수원 장안) 의원은 27일 국토해양부 국정감사에서 이같은 문제점을 지적하며 “서울과 수도권을 오가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수도권 주민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국토부가 적극 대처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경기도와 서울시를 잇는 광역버스는 1일 9628회, 출근시간대 1369회가 운행되고 있으며, 출근시간대 광역버스의 2대 중 1대는 정원을 초과해 운행되고 있다.
또한 출근시간대 이용자 8만125명 중 입석 이용자는 1만6명으로 8명 중 1명은 달리는 버스 안에서 위험을 감수하며 이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광역철도 또한 경기도-서울시간 광역철도는 1일 9628회, 출근시간대 1369회가 운행되며 출근시간대 정원초과 운행률은 150%를 상회하고 있다. 출근시간 가장 혼잡한 노선은 경인선 역곡~구로 구간으로 180%의 혼잡률을 보이고 있으며, 일산선 삼송~지축이 115%로 비교적 낮았다.
이 의원은 “수도권 시민들은 매일 아침 대형 사고가 발생할지 모른다는 불안한 마음을 안고 광역버스나 광역철도를 이용해 출근을 하고 있는데, 이는 국토해양부의 무관심과 서울시의 이기심에서 비롯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면서 “수도권의 안전한 대중교통 확충이 어려운 것은 지자체간 의견을 조율하고 시민들에게 안전한 대중교통 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가 부재하기 때문”이라며 “국토부가 나서 수도권 교통정책을 이끌어 갈 행정기구를 마련해 수도권 시민들이 안심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