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대학도서관의 대책 없는 장서수 늘리기로 인해 건물이 과도한 하중을 받고 이에 따라 외부 균열이 발생하는 등 붕괴사고가 우려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김선동(서울 도봉을) 의원은 27일 국정감사 보도자료를 통해 “대학도서관이 공간은 한정돼 있는데 여태껏 특별한 대비책 없이 장서수를 늘려만 왔기 때문에 도서관이 수용할 수 있는 장서수가 한계에 다다랐고, 건물이 과도한 하중을 받고 있어 조속한 대비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이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제출받은 ‘거점국립대학 도서관의 최대적정소장 책수 및 소장 현황’에 따르면 10개 거점국립대 중 6개 대학이 최대적정소장 책수를 넘기고 있었고, 나머지 4개 대학 또한 장서수 과다로 분관 또는 ‘서고외 편법보관’이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대 중앙도서관의 경우 최대적정소장 책수는 41만여권이지만 실제 소장 책수는 68만여권이었고, 강원대 중앙도서관의 경우 최대적정소장 책수는 59만여권이지만, 실제 소장 책수는 93만여권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대, 부산대, 전남대, 경상대의 경우 장서보유수를 ‘최대적정장서수’ 이하로 유지하고 있지만 분관이나 ‘서고외 편법보관’ 등의 조치를 취했고, 다른 학교들처럼 향후 늘어나는 장서수에 대한 대책이 미비한 실정이다.
과다한 장서수로 인한 위험성은 안전진단 결과에서도 나타나는데 중앙도서관의 안전진단 결과 지반침하와 외벽 갈라짐 등이 나타나고 책이 집중적으로 쌓여 있는 곳은 하중을 몇 배씩 더 받고 있어 건물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주대 중앙도서관의 안전진단 결과는 D등급이고, 바닥에 균열이 있으며 증축시 안전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기초보강선결’시에만 증축이 가능한 것으로 드러났다.
김 의원은 “이렇게 문제가 심각한데도 대학들이 일반열람실로 설계됐던 공간이나 사무실 등을 ‘건물구조안전성’에 대한 검토 없이 서고 및 자료 열람실로 편법 운영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막대한 자금을 들여 학교마다 도서관을 증축하는 것은 비용면에서나 공간 활용면에서나 후진적 행태”라며 “인터넷 아카이브 형식을 병행하는 등 새로운 방식의 도서관 종합대책이 세워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