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한나라당 유기준 의원이 한미FTA와 관련, 민주당이 주장하고 있는 재재협상에 대해 “이제 와서 말하는 것은 큰 의미를 둘 수 없어 곤란하다”고 말했다.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한나라당 간사인 유 의원은 12일 오전 BBS 라디오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사실 민주당이 주장하고 있는 10개 안 중에 대부분 노무현 정권 때 체결된 한미FTA와 같은 것”이라며 이같이 밝히면서 “개성공단 문제 등은 우리 쪽에서 여러 가지 의견이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라면 여야간 의견을 모아 미국에 내용을 전달하는 것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과 재재협상을 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야당의 요구는 최대한 수용하겠다는 것인가’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말하며 “일부는 재재협상이 해결이 안 되는 부분이 있어서 (재재협상은)곤란하다”고 거듭 밝혔다.
그는 여야가 합의점을 못 찾을 경우 국회의장 직권상정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렇지는 않을 것”이라며 “지금까지의 실적과 의논 결과가 있기 때문에 갑자기 그런 상황이 온다면 경제를 위한 기본 취지가 무너지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한미FTA 비준안 처리를 강하게 반대하고 있는 민주노동당에 대해서는 “주로 농림과 수산, 축산 관련해서 말씀하시는데, 원래 노무현 정부 때 21조 정도 피해대책을 마련한 바 있고, 거기다가 작년 재협상 1조를 더해서 결국 24조를 준비한 바 있다”며 “그런데 모자란다고 말씀하시면 필요한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한미FTA 발효 이후 경제적 효과에 대해서는 “수출 증가율은 FTA가 발효된 상당히 늘어난다. 미국의 경우 대미수출은 12억9000달라 정도 증가하는데 비해 수입은 11억5000달라 증가해서 무역수지는 연 평균 1억4000만원 흑자가 예상되고 있는 사안”이라며 “이 자료는 올해 7월 대외경제 정책 연구원 등 10개 연구원들이 참가해서 한미 FTA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