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국군기무사령부가 민간인 개인용 컴퓨터에 불법 접근해 각종 개인 파일을 무작위로 빼간 사실이 드러나면서 민간인 불법사찰 논란이 일고 있는 것에 대해 민주당 최재성 의원이 “많은 학자들에 대한 광범위한 사찰이 이뤄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은 20일 오전 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기무사가 민간인 신분인 기광서 조선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컴퓨터에서 해킹프로그램으로 약 700여편의 논문 및 자료를 빼간 것에 대해 “제가 입수한 정보에 의하면 기 교수외에도 군 시설에 출입하는 학자들이나 관련자들에 대해 전원 신상조사를 한다는 상부의 지시가 있었다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간단한 신상조사인지 기 교수와 같이 정밀하고 진보적인 교수에 대해 구체적인 조사를 하라는 지시였는지는 확인 안 되고 있지만 최소한 기교수외의 많은 학자들에 대한 광범위한 사찰이 이뤄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그는 ‘조직적 사찰은 아니다’라는 기무사의 입장에 대해서는 “누군들 납득이 되겠는가. 분신술을 쓰는 사람들도 아니고 광주와 서울에서 사찰이 진행됐다는 것은 최소한 수사 받고 있는 김 주사, 장 중위와 같은 2인외에 서울 지역에서 누군가 해킹했다는 것”이라며 “상부의 지시가 없이는 서울과 광주에서 동시 해킹을 할 수 있는가. 이것 하나만으로도 어불성설”이라고 비판했다.
이 문제와 관련, 군 내부에서 수사가 진행되는 것에 대해서는 “그동안 사찰이나 도청 등과 관련된 정부 당국의 수사가 꼬리 자르기식이었기 때문에 국방부 조사단이라는 어떻게 보면 여론의 바다와는 격리된 곳에서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정보위에서도 국정원의 국정감사가 열리지 못했는데, 조사는 비록 국방부 조사단에서 진행하지만 기존의 도청이나 사찰 관련 된 것도 다 꼬리자르기 식이었고 이번에도 아이디를 도용당했다, 개인 아이디에 축소하는데 급급하고 있기 때문에 국회 차원의 조사들이 병행이 돼야 사건의 진실에 다가설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