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가 23일 "지금은 정치 개혁을 할 때가 아니다"라며 "예산 국회에 집중할 때"라고 강조했다.
박 전 대표는 이날 오전 대전 한남대 등 대전지역 사립대 총학생회 학생들과 간담회를 갖고, "정치 개혁도 중요하다"면서도 "지금은 예산 국회다. 정교하게 계획을 짜고 예산에 확실히 반영해 국민들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노력을 할 때"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정치라는 것은 말로만 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정책으로 반영되고 나아가 예산으로 반영돼 국민에게 와닿아야 한다"며 "그런 노력이 많이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박 전 대표는 반값 등록금 실현 가능성을 묻는 학생들의 질문에 "반값 등록금을 전국적으로 다 해버린다고 하면 학생들에게 희소식"이라면서도 "결국은 학부모 주머니에서 나오는 세금으로 하는 것이지 공약을 하는 정치인이 돈을 내는 것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그는 "(대학내에서) 구조조정 등 필요한 개혁을 안하면서 반값 등록금을 실현하면 한쪽에서는 낭비되는 것이 있을 것"이라며 "그런 부분을 평가하면서 합리적으로 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또 그는 "정치권에서 이용하려고 하지 않고 진정성을 갖고 노력하는 게 필요하다"며 "포퓰리즘은 당장 그럴듯해 보여도 반드시 나라를 골병들게 만들고 결국 그것을 메우는 것은 국민들 책임"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공부를 하고 싶은데 등록금 때문에 못 배운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며 "종합적으로 다양한 방법을 강구해서 학생들이 부담없이 공부할 수 있도록 방안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정부도 지원을 강화하는 노력을 하고 사회와 대학도 노력을 해야 한다"며 "학자금 대출을 제로 금리로 하거나 취직했을 때부터 대출금을 갚는 방법 등 종합적 노력이 제도화돼 실현되면 학생들의 부담을 훨씬 덜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전 대표는 특히 "지방대를 나왔다고 해서 취직을 하는데 불이익을 받는 일은 있어서는 안된다"며 "핵심 능력 인증제 등을 시도하면 제도로서 능력을 인정할 수 있어 불공정이 일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박 전 대표는 이후 대전대로 자리를 옮겨 혜화관에서 30분 가량 강의한 뒤, 소셜네트워크(SNS)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격의 없는 대화를 나누었다.
박 전 대표가 이처럼 국내 대학에서 특강을 하는 것은 2007년 대선경선 때 이후 4년여 만이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