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서울시의회의 메트로 행정사무 감사 결과 퇴직자를 많이 확보해야 할 분사가 당초 취지를 무색하게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A분사는 85명 중 45명, B분사는 78명 중 39명, C분사는 107명 중 33명, D분사는 113명 중 35명만이 전적자로 채용, 평균 39.7%만이 공사의 퇴직직원으로 밝혀졌고 나머지는 분사의 신규채용직원이었다.
27일 서울시교통위원회 이행자의원(민주당, 관악3)에 따르면, 서울메트로는 지난 2008년부터 공사내 정원을 초과하는 인력에 대한 원활한 퇴직과 퇴직자의 고용안정 및 비핵심업무의 업무위탁을 통해 경영혁신을 하고자 3년간 분사를 운영해왔다.
메트로가 자회사에 위탁한 업무는 역 및 유실물센터, 구내운전, 전동차경정비, 모터카, 철도장비 등이다.
하지만 이행자 의원은 “공사가 공사의 정원 초과인력을 조기 퇴직시켜 인건비를 줄이고, 분사에 업무위탁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겠다는 계획과는 별개로 전적률은 불과 39.7%로 용역비와 인건비 이중부담으로 247억의 적자를 내 분사 운영의경제적 효과가 전혀 없었다”고 지적했다.
특히 공사는 그동안 A분사에 132억원, B분사에 136억원, C분사에 169억원, D분사에 211억원의 용역비를 지급해 612억원을 지급했고 미전적자 인건비 717억원을 포함, 민간위탁비용 총 1329억을 지급하였다.
그러나 분사 이전에 공사가 같은 업무를 직영했을 때 지출된 비용은 1082억으로 분사위탁으로 공사는 247억원의 손실을 입었다.
이 의원은 “공사가 2012년 PSD유지관리 업무를 신규분사에 위탁하고자 계획하고 있는데, 이 또한 공사의 전적자가 70~80%에 미치지 못할 경우 경제적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PSD등의 정비 업무는 전문성을 요하는 업무이고, 그동안 공사의 퇴직 직원들이 주로 하던 업무가 아닌데 주로 50대 후반의 전적자들이 PSD 등의 정비 업무를 빠른 시간 내에 익히고 신규직원의 채용 없이 공사의 위탁업무를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신규분사 위탁운영에 신중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