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한나라당이 10·26 재보궐선거 당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 대한 디도스(DDoS, 분산서비스거부) 공격 사건과 관련, 8일 안철수연구소 등이 참여하는 민관합동조사를 제안했다.
한나라당 김정권 사무총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디도스 사태와 관련해 필요하다면 안철수연구소와 같은 보안 IT업계의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공동조사를 실시하는 방안도 긍정적으로 검토해 달라"고 밝혔다.
김 총장은 합동조사를 제안하게 된 배경에 대해 "검찰과 경찰의 수사나 결과 발표에서 한 점 의혹 없이 진상이 밝혀지기를 기대하나 아무리 공명정대하게 수사해도 국민들이 믿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만에 하나 국민이 수사 결과가 미진하다고 판단하면 한나라당이 앞장서 국정조사, 특별검사제를 추진하겠다"며 "손바닥으로 해를 가릴 수 없다. 더 이상 근거 없는 정치공세가 난무하지 않도록 검·경과 IT전문가 외부업체가 공동조사해 명명백백하게 의혹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총장은 한나라당의 윗선이 디도스 공격에 개입한 것 아니냐는 야권의 의혹 제기와 관련, "있을 수도 없고 있어서도 안 되는 일"이라며 "정두언 의원의 비서나 국회의장 전 비서가 함께 술을 마셨다는 이유로 의혹이 부풀려지고 있는데, 캠프에 관여한 사람도 아니지 않느냐"고 반박했다.
그는 디도스 공격에 거액의 자금이 투입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돈이 들었는지 안 들었는지도 판단할 수 없는 일"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어 그는 "당내에서 파악하기로는 거기에 관계한 사람도, 어떤 형태든 선거 캠프나 우리 쪽에는 (연루된)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찰은 박희태 국회의장의 전 비서 등 사건 관련자들을 밤샘조사했다.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는 이날 박 의장의 전 비서인 김모(30)씨를 재소환해 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한나라당 최구식 의원 전 수행비서 공모(27)씨가 범행 시간대에 공격을 실행한 IT업체 대표 강모(26)씨 외에 김씨와 가장 많이 통화한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공씨는 선관위에 대한 디도스 공격이 이뤄진 지난 10월26일 재보선 당일 오전 7~9시께 박 의장실 비서 김씨와 5차례에 걸쳐 통화했다.
이에 대해 김씨는 "공씨에게 어제 술자리는 재미있었느냐"는 식의 안부전화를 했다고 해명했다.
김씨는 전날 오후 4시께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사에 두번째로 출석해 이날 새벽 4시30분까지 12시간 이상 철야 조사를 받고 귀가했다.
경찰은 김씨를 상대로 지난 소환에 이어 술자리에서 무슨 얘기가 오고갔는지 공씨와 디도스 공격을 공모했는지 여부를 가리는데 수사력을 집중했다.
경찰은 또 한나라당 정두언 의원의 비서인 또다른 김모(34)씨를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