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한나라당 황우여 원내대표는 13일 "임시국회가 15일에 소집될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여야 각 당의 당내 혼란으로 인해 예산안이 장기 표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황우여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언론에) 민주당 다수의 의원들이 등원을 원한다고 보도됐다. 정당의 정치 일정보다 국회 일정이 우선"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국회를 존중하는 마음과 국민에게 봉사하는 마음으로 국정에 임해야 한다"며 "야당이 나와야 함께 논의할 수 있다. 국민들에게 걱정을 끼쳐드리지 않도록 (민주당의) 등원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내년 예산안 처리와 관련해 사상 초유의 준예산 편성까지 생각해야 할 지경"이라며 "국회 정상화의 길을 이번주 안에 끝마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명규 원내수석부대표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이 처리되고 난 이후 21일 동안 국회가 하는 일 없이 지나갔다"며 "이제는 민주당이 없어도 일을 해야할 때"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민주당은 전날 정부가 반 중소기업, 반 서민예산을 편성했다고 브리핑을 했다"며 "정부가 제출한 예산안이 반 서민예산이라면 민주당은 예결위원회에 들어와서 친 서민적으로 바꿔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임시국회를 15일에 소집한 만큼 뜻을 같이 하는 야당과 국회를 운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여야 각 당의 당내 사정은 여의치 않다.
한나라당은 최근 홍준표 대표 체제의 붕괴 이후 '박근혜 전 대표의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어 예산안 처리에 신경을 쓸 여유마저 없는 상황이다.
특히 비대위 구성과 활동기간, 공천권 문제 등을 놓고 계파 간 이견이 분출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예산안 처리 여부는 후순위로 밀릴 수밖에 없다.
민주당도 국회 등원 여부를 놓고 당내 갈등이 심각하다.
협상파인 김진표 원내대표가 예산안 처리의 중요성을 감안해 임시국회 소집에 응했지만 강경파들의 반발로 예산안 처리 여부를 위한 등원이 실제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실제 민주당내 강경파들은 한나라당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강행처리, 10·26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 사건 등에 대해 사과하지 않은 상황에서 국회 보이콧은 유효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임시국회 개회일인 12일 오후 의원총회를 열어 무기명 찬반투표를 실시해 국회 등원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었으나. 의원총회 자체를 14일로 연기하고 말았다.
설사 민주당이 논란 끝에 등원을 결정해도 여야 견해차로 인해 예산안이 원만하게 합의처리 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