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시민일보]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의 인적쇄신 방침에 반발한 친이계가 본격적으로 ‘비대위 흔들기’에 나선 모양새다.
그러나 김종인, 이상돈 비대위원의 사퇴를 촉구(장제원 의원)하는 강경파와 두 위원의 사퇴를 촉구하지는 않겠다(원희목 의원)는 온건파로 나뉘어 있는 상태다.
한나라당 친이계 장제원 의원은 4일 김종인, 이상돈 비상대책위원의 사퇴를 거듭 촉구하고 나섰다.
장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 이상돈 위원이 천안함 사건과 관련, ‘초기입장은 잘못된 것이고 북한 소행이라는 정부발표 이후에는 북한에 대해 오히려 강력한 대응을 주문했다’고 해명한 것에 대해 “이상돈 비대위원께서는 지금까지 MB정부에 대해서 굉장히 집중적으로 비판적인 입장을 가지고 계셨기 때문에 천안함 사건이 당연히 북한 만행이 아니라고 발언을 하셨을 것”이라며 “그런데 지금 한나라당 비대위원으로 정체성 문제가 제기 되니까 발 빼기 하는 게 아닌가하는. 비겁하다는 생각이 든다”고 지적했다.
그는 ‘MB정부에 비판적인 입장을 지속해 온 것과 천안함에 대한 입장변화가 굳이 같은 선상에서 논의될 필요는 없지 않느냐’는 사회자의 지적에도 “모든 건 사람이 지나온 행적과 연관이 되지 않겠느냐, 지금 와서 그게 아니었다고 얘기하는 것도 굉장히 비겁한 일”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또 “이런(인적쇄신) 갈등을 촉발시킨 분들이 사퇴를 일축하면서 제로섬 게임이 돼버린 것 같다”며 “사퇴를 안 하면 집단적인 행동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당내 갈등을 좀 가라앉히고 함께 가도 어려운 판에 당내 갈등이 증폭되는 건 전권을 가진 비대위 측에서 갈등관리를 잘못한 책임이 있다”며 “두 분의 비대위원의 사퇴를 찬성하는 많은 분들이 의논을 해서 만약에 같은 의견이 도출된다면 성명까지도 불사하겠다, 이게 입장”이라고 집단행동 방침을 분명히 했다.
특히 그는 “비대위와의 결별도 각오하고 있다”는 강경한 입장을 천명했다.
사회자가 ‘비대위와의 결별이 무슨 의미냐’고 묻자 그는 “지도부를 인정 못한다는 것”이라고 답변했다.
그러나 ‘ 그러면 최악의 경우 탈당 하느냐’는 질문에는 “탈당이 아니라 전당대회를 비롯한 여러 가지 모든 것을 염두에 두고 하는 말”이라고 한발 물러섰다.
또 그는 ‘이른바 친박진영에서 물러나야 된다고 하는 사람들과의 연대도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말했다.
그러나 같은 친이계인 원희목 의원은 이날 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에 출연, “장제원 의원의 주장처럼, 김종인 이상돈 바로 사퇴해야 한다고 보지는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원 의원은 그러나 “계속 이런 식이면 사퇴해야 한다고 말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이상돈 비대위원이 ‘MB정부 핵심 실세 용퇴론’을 언급한 것에 대해 “한나라당 개혁을 위해서 비대위가 해야할 일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게 인적 쇄신이다. 그런데 인적쇄신은 대상과 시기, 방법을 시스템에 맡겨야 되고 비대위가 할 일은 룰을 정하는 일이다. 그런데 누구를 공천할까 말까 하는 부분에 대해서 일부 비대위원들이 이렇게 함부로 얘기한다는 건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새로운 인물을 대거 등용해야 하는데 그 시발점은 대구.경북지역이 돼야 할 것’이라는 이상돈 위원의 주장에 대해서도 “직권남용”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또 김종인 비대위원이 ‘1월 말까지 상황을 보고 비대위 취지에 합당한 변화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비대위원직에서 사퇴할 수도 있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 “그만큼 한나라당에 대한 쇄신 의지가 강하다고 볼 수 있겠다. 저는 일단 나쁘게 보지는 않지만 자신의 뜻을 정해놓고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으면 사퇴하겠다, 이런 느낌을 준다는 건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그는 박근혜 비대위원장이 라디오 정당대표 연설을 통해 ‘우리 정치가 매번 개혁과 혁신을 한다면서도 번번이 주저앉았다', ' 한나라당 구성원이 가진 일체의 기득권을 배제한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 “말씀하신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며 “공천은 힘 있는 어느 누가 마음대로 해서는 안 된다,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기준을 만들어서 국민의 눈높이에서 투명하고 개방적인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 이런 말들에 대해서 전 전적으로 공감을 하고, 그런 뜻에서 국민들에게 개방된 공천제도를 만들어야 한다, 이게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요지”라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여의도 연구소가 마련한 문건, 일명 ‘5%포인트 룰’이 언론에 흘러 나온 것과 관련, “지역여론의 특징과 개인적인 여론 추이가 다르기 때문에 이걸 일률적인 잣대로 한다는 것도 문제가 있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또 재판에 계류 중이거나 재공천 시 여론악화로 선거판세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지역주민의 교체지수가 현저히 높은 경우, 당세 확장에 도움이 되는 외부 영입인사가 희망하는 경우, 등의 기준들이 거론되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국민참여경선으로 해결될 수 있다”며 “국민들과 함께 가면서 당내 분란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국민참여경선을 강력 주장했다.
원 의원은 매일신문과 대구 KBS가 대구지역 12개 선거구 500명씩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현역의원 교체해야 한다’는 응답이 66.7%로 나타난 것에 대해 “교체론이 그만큼 높다는 건 그 지역 주민들한테 해당의원이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거다. 이건 경선을 해도 자기가 하고 싶다고 하더라도 경선에 통과하기가 쉽지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