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4.11 총선을 앞두고 민주통합당의 여성 15% 할당제가 지역에서 갈등을 빚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김두관 경남지사의 친 동생이자 민주당 통합직전 사무총장을 맡았단 김두수 전 총장은 29일 국회의원 예비후보 등록이 늦은 사실을 지인들에게 전하면서 “후보 등록을 1달 정도 미루고 있었던 이유는 중앙당의 여성전략공천 방침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여성계의 요구는 15%를 강제로 할당하겠다는 것이었다. 이것은 전국적으로 36명 정도의 여성후보를 우선 공천을 하라는 요구인데, 지도부에서는 답답하지만, 정공법으로 결론을 내지 않고, 우회전략으로 대응했다”며 “여성 15% 공천을 목표로 한다. 그것을 실현할 방법을 연구하는 ‘여성정치참여확대위원회’를 설치한다는 것이다. 15%라는 여성계의 요구를수용하고, 우선할당은 명시하지 않는 방법으로 타협하는 우회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그래서 민주통합당의 여성출마자들은 자신들이 전략공천을 받을 것이라고 짐작하고 있고, 다른 남성후보들은 우선할당이나 전략공천은 없다고 짐작하고 있다”며 “결과가 어떻게 나든, 사실은 엄청난 당의 분란을 내재하고 있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그는 “당시 사무총장으로 최고위원회에 참석하고 있었기에 그 과정과 내용을 잘 지켜보았다”고 강조했다.
경기도 일산 서구에 출사표를 던진 김 전 총장은 여성 예비후보인 김현미 전 의원과 공천 경합을 벌이고 있는 상태다.
김 전 총장은 “저는 1달이라는 시간동안 여성 우선공천의 가능성을 고려해서 예비후보 등록을 유보하고 있었다. 어떤 의미에서는 정면돌파, 진검승부를 하지 않았다고 비판받을 여지도 있지만, 지도부 회의에 일원으로 참여하면서 이 문제를 직접 다루고 있었기에 조금은 추이를 지켜본 것”이라며 “저의 결론은 민주통합당의 정신과 사정을 볼 때, 여성 우선 공천이나, 강제할당은 불가능하다고 확신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여성의 정치적 진출을 위해 마련한 20% 가산점 제도가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다. 이 제도는 제가 2003년 민주당 개혁위원회 국장으로 있을 때, 직접 만든 제도”라며 “여성의 정치적 진출이 활발한 북구유럽은 정당명부비례대표제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와 같은 소선거구 역사가 깊은 나라에서는 여성 강제할당 공천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지역구에 출마하는 여성에서 가산점을 부여해서 경쟁력을 높여 준 것이다. 모든 제도는 합리적 근거가 있어야 한다. 여성 15% 우선 공천은 뜻만 앞세우고, 현실을 인정하지 않는 주장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저는 3월 초로 예정되는 경선까지 최선을 다해 뛰겠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