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조용환 헌법재판관 임명동의안 통과가 무산된 이후 민주통합당 김진표 원내대표에 대한 사퇴 요구가 나오고 있는 것에 대해 같은 당 이인영 최고위원이 “본인이 숙고하셔서 판단하실 것”이라고 말했다.
이 최고위원은 13일 오전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본인 판단에 의해 사퇴하는 것이 좋겠는가’라는 질문에 “본인에게 모아지고 있는 일정한 비판의 여론을 잘 알고 계실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전쟁 중에 장수의 목을 베거나 혹은 전투에 나선 장수를 전투현장에서 교체하려면 때를 골라서 해야 한다”고 신중하게 말하면서도 ‘당에서 나가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숙고해서 물러나는 거야 어떻게 하겠느냐 라는 뜻인가’라는 질문에 “해석은 맡기겠다”며 부정하지는 않았다.
그는 이어 “이 시점에 사퇴 문제는 자칫 잘못하면 조용환 헌법재판관 임명부결 책임을 민주당(현 민주통합당) 책임으로 돌리는 가치의 전도현상을 야기할 수 있을 것”이라며 “새누리당과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의 소수와 약자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는 꽉 막힌 모습, 이런 것이 나타난 것이기 때문에 적전분열로 빠지면 안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용환 후보자 부결 사태에 대해서는 “(김진표 원내대표가)낙관한 것 자체가 문제”라며 “정확하게 타산하고 엄밀하게 따져 부결될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양승태 대법원장 임명동의안과)타협할 필요가 전혀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차라리 보류상태로 가다가 정 안 되면 다음 국회에서 확실하게 처리해도 됐을 문제였다는 지적이 뼈가 아프다”며 “이미 7개월이나 지연됐던 마당에 뭘 믿고 이번에 처리하려고 했었느냐 알 수 없다는 비판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새누리당에 대해서도 “더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책임은 새누리당에 있다”며 “일부 언론이나 기자들에게 민주당 사람들조차 찍지 않았다는 식으로 책임을 전가하고 있는 모습도 보이는데, 참으로 가당치 않은 책동이고, 이 해 분명하게 경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